1.공정표 작성 (1)공정기법에 따른 분류 * 횡선 공정표(Bar Chart) * Network 공정표 ①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② CPM(Critical Path Method) ③ NAS(Network Analysis System) * 시간, 공간 공정계획 기법(Time, Space Progress Schedule) (2)공사기간·종류에 따른 분류 * 전체 공사공정 * 기본 공정표 * 공종별 세부공정표 * 주간 공정표 * 월간 공정표 (3)작성요령 * 공정별 작업물량 파악 * 단위작업 소요시간 산정 * Cycle 공정 작성 * 작업 상호간 선·후행 검토 * 자재 및 장비 제작, 반입 등 Delivery 고려 =-------------------------------------= 필수점검사항 -------------------------------------- * 설계도서(도면, 시방서 등) 확인 * 계약서 조건확인 (계약공기·요구품질(Quality)수준 등) * 현장여건 파악 및 특수성 고려 (위치 및 지하 매설물 조사 등) * 천후(날씨) 고려 * 적정 공기(최적 공기)검토 * 발주처 요구에 맞도록 * 작성시간 준수 (각 공정 시작전 여유있게 작성) * 기본계획 공정은 소장이 작성 * 주공정(Critical Path) 선정 * 자원(Resources)의 배분 고려 (인원, 자재, 장비투입 등) =-------------------------------------= 2.공정관리 (1)주요내용 * 주요 관리 Event 설정(소장이 직접 작성) * CPM에 의한 일정 계산(주공정 Check) * 공기 단축에 대한 비용 계산 * 주개벌 Follow-up, 문제점 조치 * C.P상의 작업이 지연되지 않도록 공정관리
(2)공정관리 담당자의 선정 * 현장내 공정관리 업무담당자 선정관리 * 공정표 작성 및 수정계획 수립, 공정 Check * 공정관리 교육실시(Scheduler 양성 교육) (3)중점관리 공종 CHECK POINT 가)주공정 선정 나)중점관리 공종 선정시 유의사항 * 작업물량 * 작업난이도 * 자재수급 및 발주 다)기간별 중점관리 공종 CHECK * 일일 중점관리 공종 * 주간 중점관리 공종 * 월간 중점관리 공종 (4)공정지연 FOLLOW-UP * 공정지연 원인 파악 -지연공정 파악 -지연원인 파악 * 공정지연 문제점 발췌 * 공정지연 대책수립 -공정계획 수정(수정 공정표) -돌관작업 수행 -공기연장(Claim)신청(발주처로부터 승인에 따른 공기 확보) (5)공기단축 * 공법(VE, QC 제안)변경에 따른 공기단축 여부 검토 * 현장 관리업무 개선 * 자원의 최대투입 및 활용 >
3.자원(RESOURCES)관리 (1)인력(MAN-POWER) * 적정(최적) 인력 유지 * 인력 추가투입 여부 및 투입시기 판단
(2)자재(MATERIAL) * 자재선정 * 자재발주 -자재발주 시기검토 -자재 Delivery 기간 검토 : 예)외자재 * 제조업체(Manufacturer)의 생산능력 -제작(생산)기간 -S/D작성 관련 : 기간 및 수행능력 -현 시점에서의 생산량 검토(현장 투입물량 대비) * 현장 반입시기 결정 -선행 공정순에 의한 반입 -현장자재 야적공간 확인 -특수자재(품귀자재 등)반입시기 검토 * 현장 자재반출(가설재, 잉여자재, 전용자재 등) (3)장비외 시설관리 * 장비투입, 사용, 철수계획 수립 * 시설보수 개선업무(공정관리 업무 수행상 요구되는 시설) 예)가설운반로, 가설통로, 인양을 위한 JIG 제작 등 (4)외주관리 * 적정업체의 선정 -규모, 실적, 업무수행 능력, 재정상태, 해당면허 보유, 도급 한도액등 고려 * 업체의 구분에 따른 관리 -노임성 하도 -자재+노임성 하도 * PCM 실시 및 공정회의 -업체의 공정표 작성 제출 -공사 투입시기, 인원, 공사 종료일 -사전 문제점 파악 및 장애요인 제거 -공정 완급에 따른 협력업체의 협조 -안전, 환경측면 검토
4.공정관리 회의 * 기간별 실시(일, 주간, 월간) * 공종별 업체와 실시업무(Coordination) * 계획대 실적확인 및 Follow up * 문제점 및 애로사항 파악 * 대책수립 * 향후 공정계획 수립 * 안전, 환경 공정 동시 검토
5.공정관리 전산 운영 * 공정관리용 Program (SS-Pert System. CAD System 등) * 전산에 의한 기성금액 산출(Tabulation) * 전산에 의한 공정율 관리 * 전산에 의한 공정표 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