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최초의 생성 원리에 근거한 자전입니다. 풀이된 글자을 클릭해보세요!!!
엄청난 고생 끝에 이 자전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내용이 다 채워지지는 않았습니다. 목표는 4000자입니다. 이 4000자에는 한자 능력시험 1급부터 8급까지의 한자 3500자가 포함되고, 중국에서 사용하는 한자 중 빈도 수가 가장 많은 순으로 2500자가 포함될 예정입니다. 목표는 6월말까지는 끝내려고합니다. 간체자 부분은 손인욱 선생님(前 이얼싼中國문화원 강사)과 함께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
|
[1 페이지/총 125 페이지] 총 3744 개의 글자가 있습니다. |
한자 | 간체자 | 급수 | 훈 음 | 약자 | 부수 | 획수 | 글자 풀이 | 종류 | 가(袈) | 쟈1(袈) | 1급 | 가사 가 | | 衣 | 11획 | 옷 의(衣) + [더할 가(加)] | 형성자 | 가사(袈裟)는 스님이 입는 옷이니까, 옷 의(衣)자가 들어갑니다. | 가사(袈娑) | 가(呵) | 허1(呵) | 1급 | 꾸짖을/웃을 가 | | 口 | 8획 | 입 구(口) + [옳을 가(可)] | 형성자 | 옳게(可) 되라고 입으로 꾸짖어니까, 입 구(口)자가 들어 갑니다. 또한 입으로 웃으니까, 입 구(口)자가 들어 갑니다. ▶ 가가대소(呵:웃을 가 呵:웃을 가 大:큰 대 笑:웃을 소) : 껄껄거리며 큰소리로 웃음 | 가책(呵責) | 가(苛) | 꺼우3(苛) | 1급 | 가혹할/매울 가 | | 艸/艹 | 9획 | 풀 초(艹) + [옳을 가(可)] | 형성자 | 매운 맛이 풀에서 나오니까, 풀 초(艹)가 들어갑니다. 또한 중국에서는 매운 맛을 고통스럽게 여기기 때문에 가혹하다는 의미도 생겼습니다. ▶ 가렴주구(苛:가혹할 가 斂:거둘 렴 誅:벨 주 求:구할 구) : 세금 같은 것을 가혹하게 받고 물건을 강제로 청구하여 백성을 못살게 구는 일 | 가혹(苛酷),가학(苛虐),가정(苛政),가렴(苛斂) | 가(駕) | 쟈4(驾) | 1급 | 멍에 가 | | 馬 | 15획 | 말 마(馬) + [더할 가(加)] | 형성자 | 멍에는 말의 가슴에 걸어 안장이나 수레에 붙이는(加) 가죽 끈이므로, 말 마(馬)자가 들어 갑니다. | 능가(凌駕),명가(命駕),대가(大駕) | 가(哥) | 꺼1(哥) | 1급 | 성/소리 가 | | 口 | 10획 | 옳을 가(可) + [옳을 가(可)] | 형성자 | 옳을 가(可)자가 농사를 짓는 곡괭이(丁)와 농사를 지을 때 입(口)으로 부르는 노래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소리 가(哥)자는 여러 사람이 부르는 노래 혹은 소리라는 의미입니다. 나중에 사람의 성씨(姓氏)로 사용되었습니다. | 이가(李哥),김가(金哥) | 가(嫁) | 쟈4(嫁) | 1급 | 시집갈 가 | | 女 | 13획 | 여자 녀(女) + [집 가(家)] | 형성자 | 여자가 시집을 가니까, 여자 녀(女)자가 들어갑니다. 또 시집은 여자(女)가 살아야할 집(家)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 출가(出嫁),전가(轉嫁) | 가(稼) | 쟈1(稼) | 1급 | 심을 가 | | 禾 | 15획 | 벼 화(禾) + [집 가(家)] | 형성자 | 벼를 심으니까, 벼 화(禾)자가 들어갑니다. 또 벼(禾)를 심는 자리가 벼의 집(家)이라는 의미도 있습니다. | 출가(出稼),가동(稼動) | 가(嘉) | 쟈1(嘉) | 1급 | 아름다울/기쁠 가 | | 口 | 14획 | 북 주(壴) + [더할 가(加)] | 형성자 | 기쁠 때 북을 치며 노래를 부르니까, 북 주(壴)자가 들어갑니다. 또 기쁜 것에서 좋거나 아름답다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기쁠 희(喜)자와 비슷한 의미입니다. | 가배(嘉俳),가상(嘉尙),가빈(嘉賓),가미(嘉味),가례(嘉禮) | 가(軻) | 커1(轲) | 2급 | 수레/사람이름 가 | | 車 | 12획 | 수레 차(車) + [옳을 가(可)] | 형성자 | 뜻을 나타내는 수레 차(車)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옳을 가(可)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 구가(丘軻),맹가(孟軻) | 가(迦) | 쟈1(迦) | 2급 | 부처이름 가 | | 辵/辶 | 9획 | 갈 착(辶) + [더할 가(加)] | 형성자 | 범어(梵語, 옛 인도 말인 산스크리트어)인 가(ka)의 음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입니다. | 석가(釋迦) | 가(柯) | 커1(柯) | 2급 | 가지 가 | | 木 | 9획 | 나무 목(木) + [옳을 가(可)] | 형성자 | 나무의 가지니까, 나무 목(木)자가 들어갑니다. ▶ 남가일몽(南:남녘 남 柯:가지 가 一:한 일 夢:꿈 몽) : 덧없이 지나간 한 때의 헛된 부귀나 행복. 중국 당(唐)나라 때의 전기소설(傳奇小說)인 이공좌(李公佐)의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 | 남가(南柯),벌가(伐柯),가조(柯條) | 가(伽) | 가1(伽) | 2급 | 절 가 | | 亻 | 7획 | 사람 인(亻) + [더할 가(加)] | 형성자 | 범어(梵語, 옛 인도 말인 산스크리트어)인 가(gha)의 음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입니다. 중국어에서는 외래어를 한자로 만들 때 사람 인(亻)자를 붙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 가람(伽藍),승가(僧伽) | 가(架) | 쟈2(架) | 3II급 | 시렁 가 | | 木 | 9획 | 나무 목(木) + [더할 가(加)] | 형성자 | 시렁은 물건을 얹어 놓으려고 방이나 마루 벽에 건너지른 두 개의 나무이니까, 나무 목(木)자가 들어갑니다. | 서가(書架),고가(高架),가설(架設),가교(架橋),가공(架空) | 가(佳) | 쟈1(佳) | 3II급 | 아름다울 가 | | 人/亻 | 8획 | 사람 인(亻) + [서옥/쌍토 규(圭)→가] | 형성자 | 미인(人)이 아름다우니까, 사람 인(亻)자가 들어갑니다. ▶ 가인박명(佳:아름다울 가 人:사람 인 薄:엷을 박 命:목숨 명) : 아름다운 여자는 명이 짧음 ▶ 절세가인(絶:끊을 절 世:대 세 佳:아름다울 가 人:사람 인) : 절세미인(絶世美人) ▶ 점입가경(漸:점점 점 入:들 입 佳:아름다울 가 境:지경 경) : 갈수록 더욱 좋거나 재미있는 경지로 들어감 | 가화(佳話),가작(佳作),가일(佳日),가인(佳人),가연(佳緣),가약(佳約),가경(佳境),가경(佳景) | 가(暇) | 샤2,쟈4(暇,假) | 4급 | 틈/겨를 가 | 昄 | 日 | 13획 | 날 일(日) + [빌릴 가(叚)] | 형성자 | 틈이나 겨를은 시간에 관계되니까, 날 일(日)자가 들어갑니다. | 휴가(休暇),한가(閑暇),여가(餘暇),공가(公暇) | 가(街) | 졔1(街) | 4II급 | 거리 가 | | 行 | 12획 | 다닐 행(行) + [서옥/쌍토 규(圭)→가] | 형성자 | 길로 다니니까, 다닐 행(行)자가 들어갑니다. 다닐 행(行)자는 사거리의 상형입니다. | [유]가도(街道),시가(市街),상가(商街),가두(街頭),[유]가로(街路) | 가(假) | 쟈3(假) | 4II급 | 거짓 가 | 仮 | 人/亻 | 11획 | 사람 인(亻) + [빌릴 가(叚)] | 형성자 | 사람이 거짓말을 하니까, 사람 인(亻)자가 들어갑니다. | 진가(眞假),가정(假定),가설(假說),가상(假想),가명(假名),가면(假面),가령(假令),가교(假橋) | 가(價) | 쟈4(价) | 5급 | 값 가 | 価 | 人/亻 | 15획 | 사람 인(亻) + [성 가(賈)] | 형성자 | 성씨 가(賈)자에는 돈을 의미하는 조개 패(貝)자가 들어가 있어서 장사 고(賈)자도 됩니다. 장사(賈)할 때 사람이 값을 매긴다고 해서 사람 인(亻)자가 들어갑니다. | 정가(定價),유가(油價),원가(原價),시가(市價),시가(始價),시가(時價),반가(半價),물가(物價),동가(同價),대가(代價),고가(高價),가격(價格) | 가(加) | 쟈1(加) | 5급 | 더할 가 | | 力 | 5획 | 힘 력(力) + 입 구(口) | 회의자 | 더할 가 (加)자는 쟁기를 본떠 만든 힘 력(力)자와 입 구(口)자가 나란히 있는 글자입니다. 쟁기질(力)하는 사람에게 입(口)으로 더 잘하라고 말하는 데에서 '더한다'는 의미가 붙었습니다. | 참가(參加),배가(倍加),가해(加害),가필(加筆),가중(加重),가입(加入),가온(加溫),가열(加熱),가속(加速),가산(加算),가공(加工),가공(加功) | 가(可) | 커3(可) | 5급 | 옳을 가 | | 口 | 5획 | 입 구(口) + 넷째 천간 정(丁) | 회의자 | 옳을 가(可)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입 구(口)자 옆에 정(丁)자의 모습이 있습니다. 가(可)자에 대한 해석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이중 하나는, 농사를 짓는 곡괭이(丁)와 농사를 지을 때 입(口)으로 부르는 노래로 해석하여, 힘든 농사일에 노래를 부르면 쉽게 일을 할 수 있다고 해서, "가능(可能)하다, 옳다"는 의미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 허가(許可),가변(可變),가망(可望),가당(可當),가능(可能),가관(可觀),가결(可決) | 가(歌) | 꺼1(歌) | 7급 | 노래 가 | | 欠 | 14획 | 하품 흠(欠) + [성/소리 가(哥)] | 형성자 | 노래를 부르면, 소리(哥)를 지르기 위해 하품(欠)하듯이 입을 크게 벌려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 군가(軍歌),국가(國歌),교가(校歌),가수(歌手) | 가(家) | 쟈1(家) | 7급 | 집 가 | | 宀 | 10획 | 집 면(宀) + 돼지 시(豕) | 회의자 | 집 가(家)자는 집(宀) 안에 돼지(豕)가 있는 형상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돼지는 가축(家畜)들 중에서 최초로 집안에서 길러서 생긴 글자입니다. 옛날에는 돼지를 집안에서 길렀고, 사람들의 분뇨와 음식 찌꺼기를 먹으며 자랐습니다. | 촌가(村家),초가(草家),인가(人家),외가(外家),왕가(王家),안가(安家),생가(生家),가출(家出),가전(家電),가장(家長),가실(家室),가사(家事),가문(家門),가내(家內),농가(農家),가구(家口) | 가(叚) | 쟈3(叚) | N/A | 빌릴 가 | | 又 | 9획 | 또 우(又) | 회의자 | 빌릴 가(叚)자는 절벽을 의미하는 엄(厂)자 아래에 있는 광물(두 점)을 두 손(彐와 又)으로 캐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원래의 의미는 절벽에서 광물을 캔다라는 의미이나, 빌린다는 뜻으로 변화되었습니다. 땅에서 캐낸 광물은, 인간이 자연에서 일시적으로 빌려 쓴다는 고대 중국인의 생각을 볼 수 있습니다. | | 가,고(賈) | 쟈3,구3(贾) | 2급 | 성 가,장사 고 | | 貝 | 13획 | 조개 패(貝) + [덮을 아(覀)→가,고] | 형성자 | 장사에는 돈이 필요하니까, 돈을 의미하는 조개 패(貝)자가 사용됩니다. 나중에 성씨 가(賈)로 쓰였는 데, 아마도 가(賈)씨 집안은 장사를 하던 집임이 분명합니다. | [유]상고(商賈),가도(賈島) | 각(殼) | 커2,챠오4(壳) | 1급 | 껍질 각 | | 殳 | 12획 | 칠 수(殳) + [껍질 각(壳)] | 형성자 | 껍질 각(壳)자는 껍질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위해 칠 수(殳)자를 추가하여 껍질 각(殼)자가 되었습니다. 옛날에는 껍질(壳)을 도리깨 등으로 쳐서 벗겼기 때문입니다. | 패각(貝殼),지각(地殼),각선(殼腺) | 각(恪) | 커4(恪) | 1급 | 삼갈 각 | | 忄 | 9획 | 마음 심(忄) + [각각 각(各)] | 형성자 | 말이나 행동을 조심스럽게 하는 것을 '삼가한다'고 합니다. 마음으로 조심하니까, 마음 심(忄)자가 들어 갑니다. | 각별(恪別),각건(恪虔) | 각(珏) | 줴2(珏) | 2급 | 쌍옥 각 | | 玉/王 | 9획 | 구슬 옥(玉/王) + 구슬 옥(玉/王) | 회의자 | 쌍옥(雙玉)은 옥 두개(玉,玉)가 쌍으로 있다는 의미입니다. 주로 사람의 이름에 사용됩니다. | 각규(珏圭) | 각(却) | 췌4(却) | 3급 | 물리칠 각 | | 卩 | 7획 | 병부 절(卩) + [갈 거(去)→각] | 형성자 | 물리날 각(却)자는 병부 절(卩)자와 갈 거(去)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병부 절(卩)자는 꿇어 앉아 있는 사람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따라서 꿇어 앉은(卩) 채로 뒤걸음질로 물러난다(去)는 의미입니다. 옛날에 높은 사람 앞에서 물러 날 때에는 항상 뒤걸음으로 물러났습니다. | 냉각(冷却),퇴각(退却),소각(燒却),몰각(沒却),독각(賣却),망각(忘却),랭각(冷却),기각(棄却),각하(却下),각설(却說) | 각(脚) | 쟈오3(脚) | 3II급 | 다리 각 | | 肉/月 | 11획 | 고기 육(肉/月) + [물리칠 각(却)] | 형성자 | 종아리는 신체의 일부이니까, 고기 육(肉/月)자가 들어갑니다. | 각선(脚線),각색(脚色),각본(脚本),각기(脚氣),각광(脚光),각골(脚骨) | 각(閣) | 거2(阁) | 3II급 | 집 각 | | 門 | 14획 | 문 문(門) + [각각 각(各)] | 형성자 | 집에 문이 있으니까, 문 문(門)자가 들어 갑니다. ▶ 사상누각(沙:모래 사 上:위 상 樓:다락 루 閣:집 각) : "모래 위에 지은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견고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함을 일컬음 | 각하(閣下),각의(閣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