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속의 인물 돈을 보면 그 나라가 보인다
화폐속의 인물
돈을 보면 그 나라가 보인다
■
프랑스_ 100 NE
나폴레옹 보나파르트_ Napoléon I본명_ Napoléon Bonaparte
1769. 8. 15 - 1821. 5. 5.
프랑스의 영웅_ 혹은 독재자_ 풍운아
가난한 시골 소년이 일진광풍을 일으키며_ 통치자에 이르고 좌절하는_
바람과 구름의 이름_ 사람들은 그를 보나파르트 나폴레옹이라 부른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프랑스어: Napoléon Bonaparte, 1769년 8월 15일 - 1821년 5월 5일)는 프랑스 혁명기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훗날 프랑스 제1제정의 황제 나폴레옹 1세(Napoléon I, 재위 1804년 - 1814년, 1815년)로 즉위한다.
나폴레옹_Napoléon Bonaparte |
---|
혼란스러웠던 프랑스 혁명 후의 프랑스를 쿠데타를 일으켜 종신집정으로 다스려 안정시킨 후 국민 투표를 통해 군주제로 전환하여, ‘나폴레옹 전쟁’이라고도 불리는 전 유럽을 상대로 침공하여 제패하려 한 전쟁을 벌이다가 패한 뒤 폐위되어 유폐되었다. 나폴레옹의 가장 큰 업적은 유럽 대륙 전체에 프랑스 혁명의 정신을 전파한 것이다.
그와 함께 나폴레옹 법전은 세계 각국의 법 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798년의 이집트 원정 중에 발견된 로제타석은 근대 이집트학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가 건설을 명령한 개선문은 에펠탑과 더불어 파리의 가장 유명한 상징물로 남아있다. 그 때문에 일반 사람들은 그를 프랑스를 대표하는 영웅으로 보고 있으나, 정작 프랑스 사람들은 그를 독재자라면서 비판적으로 본다고 한다.
어린시절
나폴레옹은 1769년 8월 15일, 지중해 서쪽의 작은 섬인 코르시카 섬의 아작시오에서 토스카나 출신의 가난한 지주 집안에서 8명의 아이들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변호사이며 귀족회의 의원인 카를로 마리아 부오나파르테(프랑스식 이름은 샤를 마리 보나파르트)였으며, 어머니는 마리아 레티치아 라몰리노였다. 태어났을 시의 이름은 나브리오네 부오나파르테(Nabulione Buonaparte)였다. 부오나파르테 가는 프랑스의 코르시카 점령에 항의하며 파스콸레 파울리가 이끄는 코르시카 독립운동에 참여하였으나 파울리가 망명하자 프랑스 측으로 전향하여, 가문의 명칭을 프랑스식인 보나파르트로 개명하고 귀족 자격을 얻었다.
유년기에 나폴레옹은 점잖은 성격을 가졌으며, 하루 종일 독서에 심취하였는데, 특히 플루타르코스의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을 즐겨 읽었다. 처음엔 집안 살림이 어려워 형 조제프와 함께 학비를 내지 않고도 다닐 수 있는 수도원 부속학교인 도툉 중학교에 들어갔지만, 곧바로 그만두고 1779년 아버지를 따라 프랑스로 건너가 브리엔느 육군 사관학교에 입학했고, 1784년에는 파리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만은 뛰어난 성적을 보였다. 졸업 시험 성적은 58명 중 42위였지만, 통상 재적 시간이 4년인 곳을 불과 11개월 만에 필요한 과정을 모두 수료하였다.
군인시절
1785년에 아버지를 여읜다. 같은 해 11월 3일 사관학교를 졸업한 그는 발랑스에 주둔한 라 페르 연대 포병 소위로 임관하였다. 1789년 바스티유 감옥 함락 소식을 듣고 나폴레옹 자신도 프랑스 혁명에 참가하여 쟈코뱅파를 지지하는 소책자를 썼다가 체포되고 만다. 1792년에 코르시카로 귀향하여, 아작시오의 국민위병대 중령이 되지만, 그로 인해 프랑스 왕당파와 연줄이 있는 파올리와 균열이 생겨 일가족과 함께 마르세유로 도피행에 가까운 이주를 하였다.
마르세유에서는 유복한 상인 집안인 클리라 가와 친해진다. 형 조제프는 클라리 가의 마리 줄리와 혼인하였고, 나폴레옹은 마리 줄리의 여동생 데지레 클라리와 연인 사이가 되어 약혼식을 올렸다. 1793년 말, 프랑스군 대위로 근무하고 있었을 때에, 툴롱 공략 작전에서 왕당파 반란군을 시원스럽게 진압하는 최초의 무훈을 세워 사단장이 되었다.
1794년 로베스피에르가 테르미드르의 반동 쿠데타로 실각하여 처형되자 로베스피에르의 남동생 오귀스탕과 연줄이 있었던 나폴레옹은 감옥에 갇히고 말았다. 하지만 석방 후에 총재 정부의 총재 파울 바라스에게 등용되어 1795년10월 5일 파리에서 왕당파의 봉기가 일어나자 이를 수도 시가지에서 대포를 쏘는 대담한 전법으로 시원스럽게 진압함으로써 사단장이 되었다.
아르콜의 다리에 선 나폴레옹_ 이 그림은 루브르 박물관에 걸려있다.
1796년, 데지레와 파혼하고, 귀족의 미망인으로 바라스의 애인이기도 한 조제핀 드 보아르네와 결혼한다. 같은 해, 바라스에 의해 이탈리아 원정군 사령관으로 발탁된다. 이 이탈리아 원정을 나폴레옹 전쟁의 서막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 때 나폴레옹의 나이는 27살이었다.
당시 프랑스는 혁명 이후 혁명파와 반혁명파간의 이념 대립 등의 혼란 상태가 지속되어 외세의 침입을 자주 받았다. 이에 1793년 군사적 재능을 인정받아 풀려난 나폴레옹은 이탈리아 방면에서 오스트리아군을 물리치는 부대의 지휘관이 되었다. 나폴레옹은 이탈리아에 주둔한 오스트리아군과 싸우기 위해 눈보라가 몰아치는 알프스 산맥을 넘으면서 “나의 사전에 불가능이란 단어는 없다”라고 외쳤다. 산맥을 넘은 그는 곧바로 이탈리아를 제압한 후, 1797년에는 오스트리아의 수도 빈을 점령하여 신성로마제국을 멸망시켰다. 오스트리아는 프랑스에 굴복하고 캄포포르지오 조약을 체결하여 벨기에와 이탈리아의 북부 지방인 롬바르디아를 프랑스에게 넘겨주었다. 이러한 군사적인 업적으로 나폴레옹의 인기는 프랑스 내에서 높아져 갔지만, 이탈리아에서는 프랑스제 성냥을 쓰지 않을 정도로 프랑스에 대한 반감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혁명 정부(총재 정부, 5명의 총재가 통치하고 있던 기간)는 나폴레옹의 인기가 너무 높아지자 견제하기 시작하였다. 그를 프랑스 국민들로부터 떨어뜨려 놓기 위해 이집트로 파병 명령을 내렸다. 명목은 영국과 인도를 잇는 길을 차단함으로써 영국의 인도 지배를 방해하고 그 세력을 약화시킨다는 것이었다. 1798년 5월 나폴레옹은 5만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이집트에 상륙한 후, 지역의 호족들을 쳐부수고 카이로에 입성하여 피라미드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이 때 나폴레옹이 대동한 180명가량의 학자들은 이집트의 고대 유적을 비롯하여 이집트에 서식하고 있는 동식물, 고대 이집트의 역사나 풍속 등을 조사하였다.
이집트를 정벌하여 스핑크스 앞에 서있는 나폴레옹_ 이 당시에 이때 발견된 로제타석이 결국 고대 이집트 문명을 밝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이 로제타석은 세 면으로 나뉘어져, 윗면은 고대 그리스어, 둘째 면은 이집트의 평민어였던 데모닉 그리고 마지막은 이집트의 고대어 하이에로글리픽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돌은 나폴레옹의 시리아 원정의 실패 후 이집트에 주둔한 영국군에 의해 대영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나폴레옹은 이 비문을 해석하길 적극 권장했으나 살아서 이 돌의 해석을 보지 못하고, 후에 프랑스의 천재 언어학자 샹폴리옹에 의해 완벽히 해석된다. 이집트를 여행하면 지금까지도 유명한 이야기로 남아있다.
나폴레옹 대제의 황제 문양 엠블렘
통령시절
한편 나폴레옹이 이집트 원정에 나가있는 동안 프랑스는 국제적으로 사면초가에 빠져 있었다. 영국과 오스트리아가 다시 동맹을 맺고 프랑스를 위협하였다. 이때의 주변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있던 나폴레옹은 7월 프랑스 해군이 아부키르 만에서 영국 함대에 패하여 본국과의 연락이 끊기자, 혁명 정부의 명령도 받지 않고 혼자서 몰래 이집트에서 탈출한 후 10월에 프랑스로 귀국하였다. 그는 동생 루시앙의 도움으로 1799년 11월 9일 군대를 동원하여 쿠데타를 일으켰다. 그는 500인회를 해산시켜 헌법을 폐기하고 3명의 통령들을 두는 새 헌법을 만들어 국민투표에 부쳤다. 나폴레옹은 개인적인 인기를 등에 업고 프랑스 원로원으로부터 종신의 제1통령으로 임명되어 사실상 프랑스 정권을 자신의 손아귀에 넣었다.
이후 나폴레옹은 연합국에 강화를 제의하지만, 거절당한다. 이에 나폴레옹은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 북부로 진격하여 1800년 2월 마렝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를 굴복시켰고, 다음해 2월에 오스트리아는 강화 제의를 받아들여 라인 강의 절반을 프랑스측에 할양하였으며, 북이탈리아 등을 프랑스의 보호국으로 했다. 이 강화로 제2차 대프랑스 동맹은 붕괴되어, 영국만이 전쟁을 지속하다가 1802년 3월 양국간에 아미앵 조약을 체결하여 10년 만에 안정을 맞았다.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_ 어렸을때부터 자주 보아오던_ 꽤나 유명한 이 그림에는_ 왼쪽 아래의 표제석 바위에 씌여있는 글씨에_ 보나파르트 나폴레옹과 한니발_ 카룰루스 대제의 이름들이 새겨져있다_Napoleon Crossing the Alps, by Jacques-Louis David. Note the names of Hannibal, Charlemagne (Karolus Magnus), and Bonaparte in the rocks below
종신 통령 시절
나폴레옹은 내정 면에서도 일대 개혁을 실시했다. 전국적으로 세금 제도와 행정 제도를 정비함과 동시에 혁명기에 괴멸에 가까운 타격을 입은 공업 생산력의 회복을 실시하여 산업 전반의 부흥에 힘을 쏟았다. 1800년에는 프랑스 은행을 설립하여 경제 안정을 도모했다. 1802년에는 유명한 레지옹 드누르 훈장을 창설했다. 또, 교육 개혁에도 힘써 공공 교육법을 제정하였다. 또 국내 법 정비에도 임하여 1804년에는 《프랑스 민법전》, 이른바 나폴레옹 법전을 제정했다. 이것은 각 지역의 여러가지 관습법과 봉건법을 하나로 통일한 최초의 민법전으로 ‘만민의 법 앞에의 평등’, ‘국가의 세속성’, ‘종교의 자유’, ‘경제 활동의 자유’ 등 근대적인 가치관을 도입한 획기적인 것이었다. 그 밖에도 교육 및 교통망 정비에도 진력하였다.
프랑스 대혁명 이후 혁명 정부의 탄압을 받던 로마 가톨릭과의 화해도 모색한 나폴레옹은 1801년에 교황 비오 7세와 정치 및 종교 조약을 맺어, 국내의 종교 간 대립을 완화했다. 또, 왕당파와 쟈코뱅파 등의 파벌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골고루 등용하여, 국내 정치를 융화로 이끌었다. 한편으로는 현 체제를 뒤집으려고 시도하는 자에게는 자비를 베풀지 않고 무자비하게 탄압하였다. 그리고 1802년 8월 2일에 그는 종신통령(종신 집정)이 되어, 자신의 독재권을 한층 더 강화하였다.
1816년_ 나폴레옹 대제의 모습
황제시절
나폴레옹의 강력한 내정 개혁 실시로 그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자 측근 인사들은 그에게 황제가 될 것을 권유하였고, 이에 나폴레옹은 그것을 국민 투표로 결정하도록 하였다. 1804년 7월의 국민투표에서 찬성표 3,572,329와 반대표 2,569로 대다수의 국민들이 제정을 수락하였다. 그리하여 나폴레옹은 1804년 12월 2일에 마침내 즉위식을 거행하여 프랑스 제국의 초대 황제인 나폴레옹 1세가 되었다. 프랑스가 루이 16세를 처형하고 공화정으로 전환된 지 10년 만의 일이었다. 야심만만했던 나폴레옹은 역대 프랑스 왕들이 전통적으로 대관식을 치른 랭스 대성당을 단호히 거부하고 노트르담 대성당을 즉위식 장소로 선택하였다. 자신은 부패한 부르봉 왕조를 계승하는 군주가 아닌, 위대한 로마 제국의 대를 이은 샤를마뉴 대제의 후손임을 만천하에 과시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나폴레옹은 자신이 직접 황제관을 썼으므로 교황 비오 7세는 축복기도를 하고 그를 포옹해주는 것으로 만족해야만 했다. 대관식은 나폴레옹의 요구대로 하객들의 기가 질릴 만큼 호사스럽게 거행되어 황제의 막강한 권력을 과시하고 선전하는 정치적 행사로 연출하였다.
노트르담 성당에서 조제핀에게 직접 황후관을 하사하는 나폴레옹 황제
Sacre of the Emperor Napoleon I and the crowning of the Empress Joséphine in the cathedral of Notre-Dame of Paris,
이 일은 다방면으로 여러가지 충격을 주었다. 그를 인민들의 영웅이라고 생각해 《보나파르트》라는 제목으로 나폴레옹에게 헌정할 예정이었던 교향곡 제3번을 작곡하고 있던 베토벤은 그가 황제가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실망하여 악보에서 펜을 던지고 한탄하며, 나폴레옹에게 곡을 헌정하는 것을 그만두고 제목도 《영웅》으로 변경했다. 또한 남아메리카 독립운동 지도자 중 한 사람인 시몬 볼리바르는 나폴레옹의 황제등극을 보면서 절대권력에 혐오감을 갖게 되어, 후에 왕정국가 건설을 위해 독립운동을 하던 산 마르띤과 결별하였다.
1808년 프랑스 은행에서 발행된 20 프랑짜리 금화_ Gold 20 Franc Coin of Napoleon I, struck 1808 _
나폴레옹은 1800년 최초로 프랑스은행을 설립하여 경제개혁에 힘썼다.
일단 나폴레옹은 황제가 되고 나서 프랑스의 수도 파리를 세계 제일의 수도로 만들기 위해 도시에 대한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는 가구의 새로운 계산법(짝수법, 홀수법)을 마련하고, 분수를 설치하고 묘지를 정리하였으며, 광장과 회관, 시장, 강변 구역과 제방 및 공공 시설과 기념비적 건축물들을 정비하였다. 또 높은 지위의 사람들과 위인들의 동상이 거리 곳곳에 세워지고, 교량이 건설되었다.
얼마 후 아미앵 화약은 영국 측이 파기하여 영국과 프랑스 양국은 다시 전쟁 상태로 들어갔다. 1805년, 나폴레옹은 영국 상륙을 위해 도버 해협을 접한 브로뉴에 대군을 집결시켰다. 이에 대항하여 영국은 오스트리아와 러시아 등을 끌어들여 제3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한다. 프로이센은 중립적인 입장을 표명했지만, 영국과 오스트리아와의 외교관계를 계속 유지하였기 때문에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을 중립국으로 확실히 만들기 위해서 영국에게서 빼앗은 하노버를 프로이센에 양도한다는 약속을 했다.
나폴레옹 대제의 첫번째 부인 죠제핀_Napoleon's first wife, Joséphine de Beauharnais
프랑스 육군은 10월 오스트리아군을 물리치고, 빈을 점령한다. 그리고 오스트리아를 구원하러 온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의 군대가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1세의 군대와 합류하여, 즉위 1주년인 12월 2일에 프랑스군과 격돌하여 아우스테를리츠 전투를 치루었다. 나폴레옹의 교묘한 작전 덕분에 프랑스군은 완승을 거두었으며, 오스트리아는 프레스부르트 조약을 체결하여 항복을 선언했다. 이 전투는 3명의 황제가 한 전장에 모였기 때문에 ‘3황제 회전’이라고도 불린다. 나폴레옹은 이 날 전투에서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개선문을 세우도록 명하였다. 오스트리아와 러시아 두 나라를 상대로 혼자서 능히 제압한 프랑스 육군의 위광은 곧 전 유럽에 떨치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해군은 1805년 10월 트라팔가르 해전에서 넬슨이 이끈 영국 해군에게 완패를 당하여 영국 상륙 작전은 실패로 끝나고 만다.
유럽 대륙의 중앙부를 제압한 나폴레옹은 형 조제프는 나폴리 국왕으로, 동생 루이는 네덜란드 국왕에 각각 앉혀 라인 동맹을 발족시켜 이를 보호국화함으로써 독일에게도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로써 긴 역사를 가지는 신성로마제국(新成로마帝國)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프랑스가 독일에 대해 강한 영향력을 갖게 되자 이를 불안하게 여긴 프로이센은 결국 프랑스와 대립하게 되어, 1806년 영국·러시아·스웨덴과 더불어 제4차 대프랑스 동맹을 조직하였다. 나폴레옹은 10월 이에나 전투와 아웨르슈타트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물리치고 베를린에 입성하였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동프로이센으로 도망가 버렸다.
1807년, 나폴레옹은 폴란드로 진격하였다. 같은 해, 프로이센을 구원하러 온 러시아군을 아일라우 전투와 프리틀란트 전투에서 격파하였다. 나폴레옹은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와 틸지트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프로이센의 영토를 크게 축소시키고 폴란드 지역들을 하나로 묶어 바르샤바 대공국을 형성시켰으며, 남동생 제롬 보나파르트를 베스트팔렌의 왕으로 임명하여 두 나라를 프랑스 제국의 괴뢰 국가로 지정하였다.
스웨덴에 대해서도 프랑스 원수 베르나도트를 왕위 계승자로 파견하여, 베르나도트는 1818년에 즉위하여 스웨덴 국왕 칼 16세가 되었다. 이 왕가는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지만, 정작 베르나도트 자신은 나폴레옹에 대해서 큰 호의를 갖고 있지는 않았기 때문에 스웨덴은 프랑스의 영향하에 있었지만 강고한 동맹관계라고는 할 수 없는 상태였다. 또 덴마크는 영국의 위협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프랑스와 동맹 관계를 맺었지만, 결국 그로 인패 파국을 맞게 된다.
혹한과 엄동설한에서_ 모스크바에서 철수_ Napoleon's retreat from Moscow, 유럽을 한손아귀에 넣어 통합하려 했던 영웅 나폴레옹에게는_ 추위에 벌벌 떨며 부하들과 모스크바에서 후퇴하는_이 남루한 모습의 그림이 인생에서 가장 쪽 팔리는 그림으로 남게 되었다.
몰락
처음에는 그동안 기득권층인 귀족에게 억눌림을 받던 유럽의 부르주아지와 민중은 자기 나라를 침공하는 프랑스군을 혁명군으로 환영하였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프랑스군은 점령국에서 갖은 횡포를 부려 원성이 잦아지게 되었다. 1808년 에스파냐를 점령한 나폴레옹은 국민들의 요구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형을 왕위에 앉히고, 프랑스의 점령에 반대하는 에스파냐 사람들이 게릴라전으로 저항하자, 학살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탄압했는데, 이러한 학정은 에스파냐 사람들이 프랑스 군인들에게 학살당하는 장면을 묘사한 고야의 '1808년 5월 3일'에 담겨 있다. 그러자 점령국 사람들의 환호는 저항으로 바뀌었다. 곳곳에서 격렬하게 일어난 에스파냐 사람들의 프랑스에 대한 게릴라 투쟁은 프랑스를 계속 괴롭혀대서, 나폴레옹 자신도 에스파냐의 게릴라들을 위궤양에 빗댈 정도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장 큰 골칫거리는 역시 영국이었다. 영국은 섬나라라는 지형상 장점과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프랑스의 영향에서 벗어나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폴레옹은 영국을 철저하게 굴복시키기 위하여 1806년 대륙봉쇄령을 내려 유럽 국가로 하여금 영국과의 모든 교역을 일제히 금지시켰다. 그러나 영국과의 무역에 의해 경제를 유지하던 러시아는 이 명령으로 생존권에 영향을 받자 대륙봉쇄령을 어기고 만다. 이것은 1812년 나폴레옹이 60만 대군을 이끌고 러시아를 공격하게 될 빌미를 제공하게 되었다. 프랑스군은 예상대로 쉽사리 모스크바를 점령하였다. 그는 모스크바를 점령하기만 하면 러시아가 항복할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나 러시아는 항전할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다가 러시아에서 겨울을 지낼 준비를 하지 않았던 프랑스군은 결국 퇴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순간을 기다린 러시아군은 철수하는 프랑스군의 뒤를 쫓아 공격하여 궤멸시켰다.
프랑스의 대패를 목격한 유럽 각국은 일제히 반(反)나폴레옹의 기치를 내걸었다. 처음으로 움직인 것이 프로이센이었으며, 주변 나라들에게 호소하여 제6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였다. 이 동맹에는 베르나도트의 스웨덴도 참가하였다. 러시아 원정으로 수십만의 군사를 잃은 나폴레옹은 강제적으로 청년들을 징집하였다. 1813년 봄, 변변찮은 군대로도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오스트리아·러시아·스웨덴 등 동맹군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후 휴전을 하였다. 메테르니히와의 평화교섭이 불발된 후, 라이프치히 전투에서는 동맹군에게 포위공격 당하여 대패한 후, 프랑스로 도망갔다.
거기에다가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에서의 패배까지 겹쳐 이러한 연속적인 패배는 나폴레옹의 몰락을 초래하였다. 1814년에 정세는 한층 더 악화되어 프랑스 북동쪽에서는 슈바르트베르크와 Blücher의 연합군 25만이, 북서쪽에서는 베르나도트 장군의 16만이, 남쪽에서는 웰즈 리 장군의 10만 대군이 프랑스 국경으로 진격하여 대포위망을 구축하였다. 이에 반해 나폴레옹은 불과 7만의 군세로 절망적인 싸움을 강요당했다. 3월 31일에는 제국의 수도 파리가 함락된다. 나폴레옹은 종전을 목적으로 퇴위를 하겠다고 했지만, 마르몽 원수 등으로 배신당하여 무조건 퇴위를 강요당하여, 결국 1814년 4월 16일 폰텐느 블로우 조약을 체결한 뒤 지중해의 작은 섬인 엘바 섬의 영주로 추방되었다. 이 일련의 전쟁을 ‘해방전쟁’이라고 부른다.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그 동안 숨죽이고 있던 프랑스와 에스파냐, 이탈리아 곳곳에서 옛 영광을 되찾기 위해 왕정이 다시 복구되었다. 이들은 혁명 이전으로 되돌아가려고 하였다.
나폴레옹은 로마왕이었던 자신의 아들 나폴레옹 2세를 후계자로 하고 싶었지만, 동맹국 측으로부터 인정되지 못하였다. 또 베르나도트 역시 프랑스의 새 왕이 되기를 희망했지만 결국 주위의 반발을 사 포기하였다.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최종적으로 부르봉 왕가가 후계자로 선택되었다.
그후_ 백일 천하가 있고_
평생 얻은 영광보다 더욱 쓰라리고 아픈_
역사앞에 조롱 당하기 시작하는 시간들이 있었다
나폴레옹은 다시 퇴위되어 미국으로의 망명도 시도했지만 항구 봉쇄로 단념하였고, 최종적으로 영국 군함에 투항하였다. 영국 정부는 아서 웰링턴 장군의 제안을 받아들여 나폴레옹을 남대서양의 한가운데에 있는 세인트헬레나에 유폐시켰다.
나폴레옹은 극히 소수의 수행원들과 함께 롱우드의 저택에서 생활하였다. 그 저택 주위에는 많은 보초병들이 지키고 서서 나폴레옹의 행동을 실시간 감시하였다. 또 집밖으로의 외출도 제한되어 실질적으로 감금 생활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는 동안 나폴레옹은 수행원에게 구술 필기시킨 방대한 회상록을 남겼다(에마뉴엘 라스 카즈의 세인트 헬레나의 회상 등). 이것들은 그의 인생 뿐만 아니라 당시 세계관과 역사관, 인생관을 총망라한 것이어서 나폴레옹 전설의 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나폴레옹은 특히 섬의 총독인 허드슨 로우로부터 괴롭힘을 많이 당했다. 그는 무례하게도 자부심 강한 나폴레옹에게 보나파르트 장군이라고 부르며 썩은 포도주를 따라주는 등 나폴레옹을 철저하게 우롱했다. 또, 나폴레옹의 건강상태가 악화되어 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치의를 본국으로 귀국시켰다. 그의 상태는 날이 갈수록 나빠져 매일 고통스런 나날을 보내다가 결국 1821년 5월 5일, 오후 5시 49분에 숨을 거두었다. 암살되었다는 말도 있지만 그의 정식 사인은 위암이라고 발표되었다. 그 유해는 1840년 5월에 영국의 동의를 얻어 프랑스에 반환되었으며, 현재 파리의 시파리 앵발리드에 안치되어 있다.
나폴레옹 대제의 무덤이 있는 파리의 시파리 앵발리드_ 서있는 동상 나폴레옹이 창밖의 프랑스 국기를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_ 무엇을 생각하고 있을까?_ Statue of Napoléon in Les Invalides, eyes on the French flag
그의 죽은 몸뚱아리 무덤까지도_ 일년에 수십만명의 관광객을 모우고 있다.
'아하 그렇구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멍 멍에대한 상식 (1) | 2007.12.20 |
---|---|
화폐속의 인물 돈을 보면 그 나라가 보인다 덴마크 (1) | 2007.12.18 |
알면 도움이 되여 (0) | 2007.12.17 |
쑥의 효능 / 효과 (0) | 2007.12.17 |
복숭아는 종합영양제 (2) | 2007.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