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有意事必成 where there,s a will there,s a way 뜻을 품고 있으면 이룰수있다 010-7641-1981 평강이와유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475)
Buddhism 佛敎 (146)
꿈 소망 사랑 희망 놀이터 (0)
문화공동체 유자의세움 (0)
-------------------- (0)
평강이 (169)
좋은 글귀 (588)
고사성어 이야기 (165)
시행관련 (198)
사업계획서 (34)
컴 배우기 (180)
참고사항 (191)
맛집알고 여행하기 (164)
문서 서식 (74)
임시보관함 (103)
기본카테고리 (176)
가요방 (146)
팝송방 (261)
옛 노래 (153)
뮤직비디오 (190)
보민앨범 (0)
아하 그렇구나 (334)
건축관련 (101)
토목관련 (70)
새로운 카테고리 (122)
물리와화학 (55)
자갈치알리미 (76)
인생이란 (82)
장기표의 시사논평 (371)
한번 배워볼까요 (110)
스크랩 (215)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기업을 경영하는 사람은 기본적으로 재무제표 보는 법을 알아야 한다.

- 기업의 성적표인 재무제표에는 4가지 표가 있다.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그리고 현금흐름표와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가 있다. 여기에 재무제표를 보조해 주는 제조원가명세서와 공사원가명세서 그리고 합계잔액시산표가 있다. 각각의 재무제표상의 숫자가 의미하는 바를 이해할 수 있어야 기업의 수익성이 좋아지고 있는지 아니면 반대로 악화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판단을 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표가 의미하는 바를 작성되는 순서에 따라 설명을 하면 먼저 합산되어 이를 기초로 제조업의 경우 제조원가명세서가 작성되고 그 다음에 손익계산서가 작성된다. 그리고 대차대조표가 작성되며 이를 바탕으로 현금흐름표가 작성된다.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전표의 작성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어떤 거래가 발생되면 그 거래를 회계학적인 표시로 나타내는 바 이것이 전표의 작성으로 나타난다.

※ 예를 들어 원재료를 외상으로 백만원어치 사왔다면 이러한 거래를 전표에 기입하게 된다. 전표에는 원재료가 백만원어치 들어왔다는 것과 지급해야할 외상대가 백만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외상 매입금 중에는 부가세대급금 100,000원이 합산되어 있는 바 이를 회계학상의 분개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차변] 원재료 1,000,000 대변) 외상매입금 1,100,000
부가세대급금 100,000

분개는 재무제표 작성의 출발점으로 장부작성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 일례로 만일제품매출을 상품매출로 전표작성을 하였을 경우에는 세금 및 대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 본의 아닌 손실을 보게된다.


2. 제조원가명세서

한달간의 전표작성이 끝나서 한달간의 경영성과를 알고 싶다면 작성된 전표를 가지고 각 비용별로 집계를 하여 제조기업의 경우 먼저 제조원가명세서가 작성된다. 제조원가 명세서에는 재료비,노무비,제조경비등이 집계된다. 재료비는 기초재료에 당기매입재료를 가산하고 기말재료를 차감하면 당기에 투입된 재료비를 계산할 수 있다. 노무비와 제조경비의 경우에도 현금유출 여부와는 상관없이 실제 발생된 비용을 계상하게 된다. 이렇게 작성된 제조원가명세서는 제공품 등을 감안하여 당기제품제조원가가 산출되게 된다.

제조원가명세서는 원가관리상 매우 많은 점을 시사하여 준다.

※ 일례로 전기의 제조원가명세서와 비교하여 보면 원재료가 전기에 비하여 동일한 수량을 생산하는데 더 많이 혹은 더 적게 들어 갔는지, 노무비와 제조경비는 필요이상으로 투입되지 않았는지에 대한 차이점을 보여준다. 차이점이 있다면 그러한 차이점은 규명되어 기업의 불필요한 원가를 절감해야 한다.

3. 손익계산서

제조원가명세서가 작성된 다음에 손익계산서가 작성된다.
⇒손익계산서의 일반적인 체계는 다음과 같다.

『손익계산서』
※1997년 1월 1일부터 ~ 1997년 12월 31일까지

*택스주식회사 (단위:백만원)

구 분

1997년도

비 율

1996년도

비 율

1. 매출액
2. 매출원가

6,793
4,298

100
63.3

8,380
5,440

100
64.9

*매출총이익
3.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2,495
1,478

36.7
21.7

2,940
1,685

35.1
20.1

*영업이익
4. 영업외 수익
5. 영업외 비용

1,017
113
511

15
1.7
7.5

1,254
161
463

15.0
1.9
5.5

*경상이익
6. 특별이익
7. 특별손실

619
9
-

9.1
0.1

953
-
-

11.4
-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8. 법인세등

628
115

9.2
1.7

11.4
1.5

*당기순이익

513

7.6

826

9.9

택스주식회사의 1997년도 매출액은 직전년도 대비 19 %정도 감소하였고 영업외 비용도 1997년말의 환율상승으로 인하여 96년도 대비 증가하였다. 그러나 매출원가율의 절감으로 인하여 IMF에도 불구하고 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율 7.6 % 를 구현하였다.

5. 대차대조표

※ 대차대조표는 일정 시점의 자산과 부채 그리고 자본에 대한 구성상태를 보여준다.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하면 자기자본이 되는데 순자산이라고 한다. 산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자산 - 부채 = 자본(순자산) 또는
■자 산 = 부채 + 자본으로 표현 할 수 있다.

⇒ 대차대조표의 체계는 다음과 같다.

『대차대조표』
※ 1997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백원)

구 분

금 액

구 분

금 액

자산
1. 유동자산
(1)당좌자산
(2)재고자산
2. 고정자산
(1)투자자산
(2)유형고정자산
(3)무형고정자산
(4)이연자산


4,960
3,894
1,066
2,249
648
1,575
3
23

부채
1. 유동부채
2. 고정부채


1,025
3,259

자본

2,925

자산총계

7,209

부채와 자본총계

7,209


택스 주식회사의 유동성을 보면 상당히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즉 유동비율 (유동자산/유동부채)이 꽤 안정적이라 불의의 지급불능사태에 빠질 확율은 상당히 적다고 할 수있다. 또한 IMF로 많이
이야기되는 부채비율은 총부채를 순자산으로 나눈것을 말하는데회사의 경우는 부채비율이 146%이다. 매우 건전한 재무상태임을 알 수있다. 이 밖에도 대차대조표에는 안정성에 관련한 많은 경영지표를 얻을 수 있다.

6.현금흐름표

매출은 많아서 손익계산상으로는 이익이 많이 창출되었음에도 실제로 기업내에는 현금이 없어서 심한 경우 지불불능의 상태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손익계산상으로는 결손임에도 기업내에는 현금이 풍부할 경우도 있다. 이렇게 손익계산서상 이익과 현금이 정확히 일치되지 않는 원인을 밝혀 주는 것이 현금흐름표이다.

※ 어떤 한 기업의 재무상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대차 대조표, 손익계산서와 아울러 현금흐름표를 분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금흐름표 역시과거년도와 비교하여 보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현금흐름표의 작성은 직접법과 간접법이 있는데 간접법으로 작성된 실례를 보면 다음과 같다.

『현금흐름표』
(단위:백만원)

구 분

1997 년도

1996 년도

1.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당기순이익

613

925

(2)감가상각비등 현금의 유출이 없는비용가산

976

978

(3)대손충당금환입등 현금의유출이 없는비용차감

-787

-997

소 계

802

906

2.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투자유가증권등의 처분

212

537

(2)고정자산등의 취득

-973

-438

소 계

-761

99

3.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장기차입금등의 증가

433

1,171

(2)단기차입금등의 감소

-278

-1,856

소 계

155

-685

4. 현금의 증가(1 +2 + 3)

196

320

5. 기초의 현금

450

230

6. 기말의 현금

646

450

1997년도의 현금흐름을 보면 영업활동에서는 802백만원의 현금유입이 있었고, 투자활동에서는 고정자산의 투자에 따라서 761백만원의 현금유출이 있었다. 따라서 영업활동과 투자활동에 따른 순현금액은 41백만원만큼 흑자다. 그러므로 재무활동에 의한 현금조달의 필요성은 없지만 차입금중에서 장기차입금의 차입에 의해서 단기차입금의 상환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1996년도의 현금흐름을 보면 영업활동에서는 906백만원의 현금유입이 있었고, 투자활동에서는 고정자산의 구입도 있었지만 보유하던 투자유가증권등을 매각하여 99백만원만큼 현금유입이 있었다. 따라서 영업활동과 투자활동에서 1,005백만원의 순현금유입이 창출되어 단기차입금 1,856백만원을 상환하는데 공헌을 하였다.

1996년도와 1997년도를 표에서 비교하면 1996년도는 단기차입금의 상환이 있었고,1997 투자활동에 중점을 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사례의 현금흐름표는 1996년도에는 부채를 감소시켰으며 1997년도에는 축적된 현금으로 투자활동에 기업의 자원이 투하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영업활동에서 적자를내어 투자활동이나 재무활동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의 현금흐름표보다 건전하다고 말할 수 있다.





'시행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동갈사만 사진2  (0) 2008.11.02
하동 갈사만 현장입니다  (0) 2008.11.02
경영철학-Google이 발견한 10가지 진실  (0) 2008.10.21
부동산 신탁의 모든것  (1) 2008.10.16
A M C 자산위탁계약서 양식  (0) 2008.10.16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