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有意事必成 where there,s a will there,s a way 뜻을 품고 있으면 이룰수있다 010-7641-1981 평강이와유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475)
Buddhism 佛敎 (146)
꿈 소망 사랑 희망 놀이터 (0)
문화공동체 유자의세움 (0)
-------------------- (0)
평강이 (169)
좋은 글귀 (588)
고사성어 이야기 (165)
시행관련 (198)
사업계획서 (34)
컴 배우기 (180)
참고사항 (191)
맛집알고 여행하기 (164)
문서 서식 (74)
임시보관함 (103)
기본카테고리 (176)
가요방 (146)
팝송방 (261)
옛 노래 (153)
뮤직비디오 (190)
보민앨범 (0)
아하 그렇구나 (334)
건축관련 (101)
토목관련 (70)
새로운 카테고리 (122)
물리와화학 (55)
자갈치알리미 (76)
인생이란 (82)
장기표의 시사논평 (371)
한번 배워볼까요 (110)
스크랩 (215)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1. Shift 와 F10 을 같이 누르면 아무리 잠가논,
소스라도 볼수 있답니다,

★2.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누르고 Enter을 친후
빠르게 다시한번 마우스 오른쪽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3.세번째,
'Ctrl + 오른쪽 마우스 클릭'
컨트롤+오른쪽 마우스 클릭을 하시면 컨트롤 키를 막아놓지 않은 페이지에서는 유용하게 쓰입니다.


★4.'ESC + 오른쪽 마우스 클릭'을 계속해보세요.
오른쪽 마우스 클릭 하지 말라는 경고메세지가 나오면
ESC키를 누르고 다시 오른쪽 마우스 클릭을 몇 번 하다보면
소스보기 메뉴가 나옵니다.

=--------===================
소스보기 금지된 곳에서 소스보기
1. 브라우저 메뉴(컴 상단)에서 '보기 -> 소스'를 클릭
보고픈 이미지위에 마우스를 놓은 상태에서 밑에 주소란을 확인한다.

2. shift-f10을 눌러준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것과 같은 효과의 단축키. [익스에서 적용됨]

3. 'ESC + 우클릭'을 계속해본다.
우클릭 하지 말라는 경고메세지가 나오면
ESC키를 누르고 다시 우클릭을 몇 번 하다보면 소스보기 메뉴가 나온다

4. 키보드의 오른쪽 Ctrl옆의 메뉴키를 눌러준다.
[익스에서 적용됨]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메뉴키를 눌러준다.
[넷스에서 적용됨]

5. 왼쪽 한번 누른 상태에서 오른쪽 누르고 왼쪽을 뗀다.
그리고 오른쪽을 떼면 OK! [익스에서 적용됨]

6. Ctrl + 우클릭'
컨트롤 우클릭을 하면 컨트롤 키를 막아놓지 않은 페이지에서는
유용하게 쓰인다.

7. Shift + F10'
메뉴창이 뜨므로 소스보기가 가능해진다.
순발력이 필요하므로 반복해서 시도해 본다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CD음악MP3파일로 만드는 방법

(CDex프로그램 사용법)


CDex는 오디오 CD음악을 WAV나 MP3 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프리웨어라는 장점 때문에 이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프로그램 입니다.
컴퓨터에서 MP3음악을 즐기거나, MP3플레이어를 가지고 있는 분들에게는 아주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여 러 기능 중에 CD음악을 MP3로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① 다운로드 후 압축을 풉니다.

압축이 풀린 폴더는 별도의 설치가 필요없이 폴더내에 모든 필요한 파일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폴더를 C:\Program Files 폴더에 넣어두고 실행파일을 바탕화면으로 바로가기를 해놓으시면 더욱 편리합니다.

② CDex를 실행합니다.
별도의 설치과정 없이 압 축이 풀린 폴더에서 아이콘이 CD모양인 CDex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바로 실행됩니다.

③ 컴퓨터의 CD-ROM드라이브에 음악CD를 넣으면 다음과 같이 트랙이 표시됩니 다.


노래 이름이 표시되지 않고 Audio Track01...과 같이 표시되므로 음악CD의 노래제목 을 참고하여 위 그림의 (가)처럼노래 트랙을 선택 -> 오른쪽 클릭 -> Rename Track을 선택하여 알맞은 노래제목을 입력(또는 트랙을 선택 후 F2를 누르면 바로 입력상태로 됨)

⑤ 이제 오른쪽 (나)번의 MP3단추를 누르면 선 택한 곡이 바로 MP3로 변환됩니다.

변환된 MP3파일 이 저장되는 곳 :
프로 그램 압축이 풀린 폴더(별다른 폴더이름을 지정하지 않았다면 cdex_150b6_enu폴더)밑에 my music 폴더안에 저장됨. 위의 설정대로였을 때 더 정확히는 my music폴더\no Artist\no Title안에 저장됨



[참고사항]
프로그램이 아주 간단하므로 기타 기능은 직접 메뉴나 버튼을 눌러보면 이해가 될 것이며,

참고로 CDex는 다음과 같은 기 능과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음악 CD의 트랙을 MP3나 WAV로 바 꾸어 하드 디스크로 저장할 수 있음
  • 선택된 트랙만 변환하거나 CD내의 모든 트랙을 변환할 있음(생성된 MP3, WAV 파일은 CDex 폴더 바로 아래의 my music 폴더로 저장됨)
  • MP3 -> WAV, WAV -> MP3로 변환 가능
  • 인터넷 오디오 CD 데이타 베이스 인 CDDB로부터 음악 CD의 트랙정보를 가져올 수 있어 일일이 트랙의 아티스트, 제목 등을 입력할 필요가 없음(CDDB에는 해당 CD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어야 함)
  • cdplayer.ini 파일에서 트랙 정보 를 읽어옴
  • 오디오 신호의 정규화(normalization)
  • 연주목록 파일인 M3U, PLS를 만들 수 있음
  • 연주목록 정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 하여 앨범, 가수별로 정리가 가능
  • Jitter 잡음 보정기능이 있으며 Multiple 드라이버를 지원
  • 트랙의 연주 기능이 있으며 중요 한 기능은 버튼으로 만들어 사용이 편리함

다운받기

2-8.jpg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흔히 우리는 컴퓨터가 갑자기 느려졌거나, 잘되던 컴퓨터가 어느 날 갑자기 먹통이 되어 버리면 바이러스 감염을 의심하게 된다.
여기서 바이러스란 것이 정확히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쉽게 말해 컴퓨터를 망가뜨리는 미지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컴퓨터 기술이 발전되면서 바이러스도 복잡 다양해 졌고, 그와 유사한 것들도 많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바이러스나 기타 악성 프로그램의 정의는 몹시 복잡해졌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바이러스라고 부르는 공공의 적을 보다 자세히 짚어보고 넘어감으로써 그에 대한 대처법도 함께 정리해 보고자 한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치료방법

악성코드
(Malicious Code)

바이러스(Virus)

바이러스 검사/치료

웜(Worm)

트로이목마
(Trojan horse)

백도어, DDOS, 해킹툴, 다운로더, 키로거

유해가능프로그램
(Potentially unwanted program)

스파이웨어
(Spyware)

애드웨어(Adware)

스파이웨어 검사/치료

트랙웨어, 다이얼러

4 Mbps
(1.2 Mbps)

조크, 스팸발송,
IRC 스크립트

컴퓨터에 어느 날 인터넷 시작페이지가 이상한 사이트로 고정되는 것을 발견했다. “바이러스에 감염됐구나!!” 라고 생각하여 백신 프로그램으로 검사를 해 보았지만 바이러스나 웜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오해는 유해가능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발생한다. 위의 표에서 보듯 바이러스와 웜과 트로이 목마를 묶어 악성코드라 부르고 스파이웨어 등은 유해가능 프로그램이라 부른다.

악성코드와 유해가능 프로그램은 성격이 매우 틀리고, 따라서 그에 대한 대처방법도 다르다. 일반적인 바이러스는 백신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웜이나 트로이 목마의 경우는 해결 방법이 다르다.

웜이란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나타난 악성코드이다. 네트워크로 전파되는 웜은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하게 된다. 대부분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한 명이 감염된 순간 인터넷을 통해 엄청난 속도로 퍼지게 된다. 웜은 감염된 PC에서 자신을 무한히 복제하고 퍼트리며, 이로 인해 CPU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정상적인 사용을 방해한다.

트로이목마는 컴퓨터에 정상파일로 위장해 숨어들어와 컴퓨터의 정보를 빼내가는 프로그램으로 백도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해킹 등에 악용될 소지가 큰 트로이 목마는 웹서핑을 통해서도 쉽게 감염될 수 있으므로 인터넷 사용 시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다음에서 대표적인 웜의 증상과 대응 방법을 배워보고 동시에 트로이목마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에 대비하기 위한 비밀번호 변경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웜의 대표적인 증상 BEST 5 ]

첫 번째, 인터넷 속도가 느려진다

웜은 감염된 컴퓨터에서 다른 PC로 웜을 전파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물론 웜 전파 기술이 지능화 되면서 사용자가 눈치 채지 못하게 활동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웜은 가능한 모든 자원을 소모시키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PC로 웜을 전파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인터넷 속도가 답답할 정도로 느려지고, 심지어는 웜 때문에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라는 에러 메시지 페이지를 볼 수도 있다.

두 번째, 컴퓨터 속도가 느려진다

웜은 네트워크로 자신의 파일을 계속 퍼뜨리려 하며, 이때 많은 양의 컴퓨터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웜에 감염되면 컴퓨터 속도가 덩달아 느려지게 된다. 웜이 모든 자원을 사용하고 CPU를 100% 점유하고 있어서 정작 컴퓨터의 주인인 내가 메모장을 하나 띄우려면 몇 분씩 걸리고, 마우스는 슬로우 모션으로 움직이게 된다.

세 번째, 컴퓨터가 자꾸 꺼졌다 켜진다.

컴퓨터가 자꾸 60초 후 재부팅한다는 메시지를 띄우고 그 시간이 지나면 재부팅하는 것을 계속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컴퓨터의 보안패치가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웜 공격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이며, 일반적으로 블래스터 웜(Win32/Blaster.worm) 이나 새서 웜(Win32/Sasser.worm)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런 경우는 컴퓨터가 아직 감염된 상태가 아니어서 백신으로 진단해도 웜이 발견되지 않으며, 관련 윈도우 보안 패치를 설치해야 문제가 해결된다.

■ 네 번째, 컴퓨터가 부팅이 되지 않는다.

컴퓨터가 부팅이 안된다고 해서 100% 웜의 문제는 아니지만 아래와 같이 부팅이 안된다면 웜의 감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윈도우즈에서 컴퓨터를 부팅하다보면 로그인 창에서 “윈도우즈 시동 중...” 이라는 메시지에서 멈추어 로그인 창이 안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때 <Ctrl +Alt + Del> 키를 눌러보았을 때 로그인 창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평상시대로 로그인이 가능하다면 웜이 부팅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높다.

웜의 경우 부팅이 될 때 웜을 바로 실행하게 하는데, 그 순간이 바로 로그인 직전이기 때문이다. 윈도우 부팅 과정은 일련의 규칙에 따라 작동하는데, 이런 과정 중에 무리하게 웜을 억지로 끼어 넣는 동작으로 인해 윈도우 부팅이 방해를 받을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백신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고 안전모드(부팅시 F8)에서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 다섯 번째, 실행이 안 되는 프로그램이 있다.

① 복사/붙여넣기가 안 되는 현상
문서나 파일을 작성하면서 복사/붙여넣기 기능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아무리 붙여넣기를 해도 문장이 붙여 넣어지지 않는다던가, 파일이 복사되지 않는다면 이것도 웜 감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윈도우의 중요한 프로세스 중에는 RPC DCOM이라는 프로세스가 있다. RPC DCOM의 역할 중에는 복사 명령을 받았을 때 그 정보를 특정한 공간에 저장해두고, 붙여넣기 명령을 받았을 때 저장해 두었던 정보를 꺼내주는 기능이 있다. 웜 중에 이런 RPC DCOM을 마비시키는 현상을 가지고 있는 종류가 있다. 이러한 웜에 감염되었을 때에는 RPC DCOM이 마비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음으로, 복사/붙여넣기 기능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② 작업관리자 창이 열리지 않는 현상
내 컴퓨터에 어떠한 프로그램이 실행중인가를 보는 창이 작업관리자 창이다. 작업관리자창에서는 각 프로세스의 CPU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작업관리자를 통해 웜을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는데, 웜 제작자들은 작업관리자 창이 뜨지 않도록 방해하는 웜을 제작하기도 한다. 작업관리자 창은 트레이에서 마우스오른쪽 버튼을 눌러 [작업관리자]를 선택하면 나타난다.

아래와 같이 창이 열리지 않는다면 웜 감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만약 위에 나왔던 증상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재부팅이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반드시 백신프로그램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해야 한다. 컴퓨터가 느려서 도저히 백신으로 검사를 할 수 없을 때에는 컴퓨터 뒤에 연결되어 있는 LAN 선을 뽑아 놓고 검사를 하면 된다. LAN 선이 뽑혀 있을 때에는 웜이 네트워크 사용을 못하게 돼서 컴퓨터 속도가 정상으로 작동된다. <자료제공: AhnLab>

이런 조치를 수행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들 반드시 보안패치를 설치해야 한다. 바이러스를 치료했다고 하더라도 보안패치가 되지 않은 컴퓨터는 바이러스에 재감염 될 수 있다.

보안패치는 서울대학교 자동보안패치 서비스(http://pms.snu.ac.kr), 또는
MS 사이트(http://windowsupdate.microsoft.com)에서 할 수 있다.

여기까지 대표적인 웜에 대한 증상을 살펴보았다. 웜은 정상적인 네트워크 사용을 방해할 뿐이지만 트로이 목마의 경우는 얘기가 달라진다.

트로이 목마는 컴퓨터에 저장된 계정, 비밀번호, 계좌번호, E-mail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특정 컴퓨터로 전송시켜 해킹 등 악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트로이 목마의 감염을 막기 위하여서는 불분명한 사이트의 접속을 금함과 함께 윈도우 보안패치를 최신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런 보안대책을 100% 따른다고 하더라도 신종 바이러스의 위협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될 수는 없다. 또한 개인정보 누출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사이트의 계정과 비밀번호를 철저히 관리하여야 한다.

[ 여러 사이트의 계정과 비밀번호를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좋을가? ]

대부분의 사람들이 여러 사이트에 동일한 계정과 비밀번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비밀번호 누출은 금융사기 등 심각한 피해를 가져올 수도 있으므로, 사이트마다 계정(ID)과 비밀번호를 다르게 이용하는 것이 좋으나, 관리하기 어렵다면 비밀번호만이라도 반드시 다르게 하고 주기적인 변경을 통해 이러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도록 하여야 한다.

서울대학교 포털사용자는 서울대학교 계정관리 지침 제5조 2항에 따라 분기 1회 이상 비밀번호를 변경하여야 한다.

서울대학교 포털 비밀번호 변경방법 (바로가기)

아웃룩을 통해 서울대 메일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포털 비밀번호 변경 후 아웃룩에서도 비밀번호를 변경하여야만 정상적인 메일 수발신이 가능합니다.

아웃룩(Outlook과 Outlook Express) 비밀번호 변경방법 (바로가기)

끝으로 개인 PC의 보안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사이트를 정리해보았다.

대분류

소분류

치료방법

백신
프로그램

윈도우즈용

V3 IS 7.0
Platinum Enterprise

포털→이용자서비스→캠퍼스라이선스S/W→
캠퍼스라이선스다운로드→29번

윈도우즈
서버용

V3net for
Windows
server 6.0

포털→이용자서비스→캠퍼스라이선스S/W→
캠퍼스라이선스다운로드→30번

리눅스용

Kaspersky
Anti-virus 5.5

포털→이용자서비스→캠퍼스라이선스S/W→
캠퍼스라이선스다운로드→28번

온라인용

Kaspersky
Online Virus
Scanner

포털 메인화면

비스타용

V3 Iinternet
Security(Beta)

포털→정보화인프라→보안센터→FAQ→22번

보안패치

BigFix PMS

http://pms.snu.ac.kr

Microsoft OS
Update site

http://windowsupdate.microsoft.com

악성코드방어
프로그램

악성코드 설치
방어 프로그램

포털→정보화인프라→보안센터→
보안설정가이드 →10번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가끔 자신의 컴퓨터가 자신이 없을때 언제 언제 사용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직접적으로는 윈도NT 계열 이상의 운영체제를 사용하실경우
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열어봐서 확인하는 방법이 있지만

윈도9x 계열 운영체제나
시스템 파일을 찾기 어려운 분들의 경우
쉽게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바탕화면 빈곳 아무데에다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놓으신뒤
(마우스 오른쪽버튼)-[새로 만들기]-[텍스트 문서] 실행하세요

 



그러면

 

새 텍스트 문서.txt 파일이 하나 생성이 되는데
이 파일을 더블클릭 하여 여세요



 



다음 위에 와 같이 문서를 작성합니다.

전부 작성을 하게 되면



 


새이름 저장을 통해 파일이름을 list.bat 로 작성을 하고 저장을 합니다.


 

이렇게 파일이 작성이 되면

이 파일을 [시작프로그램] 에 등록을 해야 합니다.

방법은

"시작" 버튼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열기" 를 누르시고


 



그러면 컴퓨터 프로그램 관련 폴더가 열립니다.
여기에서 [프로그램] - [시작프로그램] 을 여신뒤

위에서 작성한 List.bat 파일을 넣습니다.



 



[시작]-[프로그램]-[시작프로그램] 에 위에서와 같이 list.bat 파일이 들어있음을 확인하시면

끝입니다.

위 파일 List.bat 파일은 부팅이 되어 윈도우가 실행될때마다, 그 날짜와 시간을

C: 루트 디렉토리에 list.txt 파일로 저장을 하는것입니다.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컴퓨터] 에서 C드라이브를 클릭하시면


 


list.txt 라는 파일이 있음을 확인하셨다면, 더블클릭으로 실행합니다.



 



위에서처럼 날짜/시간대 별로 확인이 가능하시죠..
~보너스~

Windows에서 ActiveX 컨트롤 설치가 차단되는 경우는?

해당 ActiveX 컨트롤을 설치하지 말아야 합니다.


Windows에서 차단되는 ActiveX 컨트롤을 설치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Internet Explorer 보안 설정이 기본 수준이고 ActiveX 컨트롤에 유효한 디

지털 서명이 없으면 Windows에서 해당 ActiveX 컨트롤 설치를 차단합니다.

유효한 디지털 서명은 게시자(파일을 배포하는 회사, 웹 사이트 또는 개인)
의 신원뿐만 아니라 해당 파일이 서명된 이후로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해
줍니다. 파일에 유효한 디지털 서명이 없으면 파일이 실제로 해당 원본으

로 부터 가져온 것인지 또는 변경되지 않은 것인지(예: 바이러스가 컨트롤

에 삽입될 수 있음)를 확신할 수 없습니다. 게시자를 믿을 수 없고 해당 내

용을 열어도 안전한지 확신하지 못할 경우 파일을 열어서는 안 됩니다.

ActiveX 컨트롤이란?

ActiveX 컨트롤은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 비디오 애니메

이션 컨텐트 등을 제공하여 더욱 즐겁게 검색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원치 않는 컨텐트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의 승인 없이 컴퓨터에서 정보를 수집하거나

컴퓨터의 데이터를 손상시키거나, 사용자의 동의 없이 컴퓨터에 소프트웨

어를 설치하거나 다른 사람이 원격으로 사용자의 컴퓨터를 제어하는 데 사

용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 때문에 게시자를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경우에만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