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有意事必成 where there,s a will there,s a way 뜻을 품고 있으면 이룰수있다 010-7641-1981 평강이와유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475)
Buddhism 佛敎 (146)
꿈 소망 사랑 희망 놀이터 (0)
문화공동체 유자의세움 (0)
-------------------- (0)
평강이 (169)
좋은 글귀 (588)
고사성어 이야기 (165)
시행관련 (198)
사업계획서 (34)
컴 배우기 (180)
참고사항 (191)
맛집알고 여행하기 (164)
문서 서식 (74)
임시보관함 (103)
기본카테고리 (176)
가요방 (146)
팝송방 (261)
옛 노래 (153)
뮤직비디오 (190)
보민앨범 (0)
아하 그렇구나 (334)
건축관련 (101)
토목관련 (70)
새로운 카테고리 (122)
물리와화학 (55)
자갈치알리미 (76)
인생이란 (82)
장기표의 시사논평 (371)
한번 배워볼까요 (110)
스크랩 (215)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한번 배워볼까요'에 해당되는 글 110건

  1. 2008.09.30 토익(TOEIC) New 비법방토익(TOEIC) 1
  2. 2008.09.30 한자를 빨리 익히려면 1
  3. 2008.09.30 논문 쓰는 방법
  4. 2008.09.25 엔가 감상,-見かえり峠 - 嶋三喜夫, (번한가사 첨부)
토익(TOEIC)New 비법방토익(TOEIC)
TOEIC, 이것만 알아두면 모두 맞는다
-시험 전날 살짝 보는 정답․오답 Note
Ⅰ.<보기>만 보고 5초만에 푸는 문제
[비법 1] 부사가 답인 경우 7가지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한다. 그러나 TOEIC은 동사와 형용사만을 묻는다. 부사는 다음 7가지로 결판난다. 매월 4문제 이상 출제되는 문제인만큼 무작정 외워라.
____+동사 : A secretary usually avoids meeting the president.
(비서는 늘 사장님 만나는 것을 피하려 한다.)
② 동사+_____ : This report is concerned primarily with construction
of homes in the Haiphong area.
(이 보고서는 주로 Haiphong 지역에 주택 건설과 관계되어 있다.)
③ 동사+_____+동사 : Your office is currently being renovated.
(당신의 사무실은 현재 수리 중에 있습니다.)
④ to부정사+_____+to부정사 : Insurance agencies are expected to raise
premiums promptly to cover projected losses.
(보험회사들은 추정된 손실을 메우기 위해 신속하게
보험료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⑤ _____+V-ed : We would like to operate both France Airline, and ourselves,
as independently managed rivals.
(우리는 프랑스 항공사를 인수하고 싶고 독자적인 경쟁업체로 남아
있기를 원합니다.)
⑥ _____+형용사 : They were extremely unpopular with the customers.
(그것들은 고객들에게 대단히 인기가 없었다.)
⑦ (명사+)_____ : Team members must be ready to resume work immediately.
(팀원들은 즉시 일을 다시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비법 2] 형용사가 답인 경우 4가지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한다. 따라서 수식 받는 명사와 잘 어울리는 형용사를 고르는 문제이다. 매월 출제된다.
① be동사+_____ : These sectors are import!!ant in the global economy.
(이 분야들이 전(全)세계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② 관사+_____+명사 : The hours at the main office are 10:00 a.m. to 6:00 p.m..
(본점 개점 시간은 오전 10시에서 6시까지입니다.)
③ _____+복수명사 : Old computers are inappropriate for critical projects.
(구형 컴퓨터들은 중요한 업무를 다루는 데 부적합하다.)
④ the+최상급 : We chose the worst dealers.
(우리는 최악의 거래처를 선택했다.)
[비법 3] 명사가 답인 경우 8가지
명사는 7문제까지 출제된 적이 있다. 적절한 의미와 적절한 형태를 묻는 문제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명사와 어울리는 다음 한정사를 반드시 숙지해 두어야 한다.
① 's+_____ : A high level of training is essential in today‘s workplace.
(요즘 사업장에서는 수준 높은 교육이 필수적이다.)
② 명사+_____ : Savings banks have already brought with a new creative
product to customers in order to recover from the recent
economic downfall.
(저축 은행들은 이미 새롭고 독특한 기발한 상품을 고객들에게
내 놓아 최근의 경기침체에서 벗어나려고 했다.)
③ 형용사+_____ : A few of them actually have enough experience and networks
to lead an international investment.
(사실 그들 가운데 일부는 국제적 투자를 이끌 만큼 충분한 경험과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④ _____+동사 : The total construction period took longer than we anticipated
(총 공사기간이 우리가 예상했던 것에 비해 더 오래 걸렸다.)
⑤ 소유격 대명사+_____ : Many companies are requiring that their employees
have an extensive knowledge of computers.
(많은 회사들은 직원들이 컴퓨터에 대해 폭넓은 지식을
갖추고 있기를 바란다.)
⑥ some/any+_____ : Dongyang Insurance Company is announced some changes
to its auto insurance policies.
(동양 보험은 자동차 보험 규정의 일부 변경사항을 발표했다.)
⑦ the+_____+of : The chief engineer insists that all engineers are in compliance
with the manual of a machine to operate it properly.
(기술자들의 팀장은 모든 기술자들이 기계를 올바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기계의 안내서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⑧ V-ing+_____ : I do have some training responsibility and was the one 
who organized the in-house course in clear writing.
(나는 교육할 책임이 있고 명확한 문서로 실내 과정을 정리했다.)
[비법 4] 동사가 답인 경우 4가지
주어 뒤에 적합한 형태의 동사를 묻는 문제이다.
① 주어+_____ : Miss. Jenny has been running a law firm over 5 years and
notorious that she charges high fees for her legal services.
(제니 양은 5년 이상 법률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데 그녀는 법률
서비스에 대해 높은 수수료를 부과한다는 사실 때문에 악명이 높다.)
② 명사+주격관계 대명사+_____ : The number of do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latest strike for a limited number of hours
were bigger than ever.
(최근 시한 파업에 참가한 의사들의 수는 그 어느
때보다도 많았다.)
③ be동사+_____ : Interns should realize that they may be disappointed by
the training's slow for 3 months.
(인턴들은 3개월에 걸친 아주 느린 과정에 실망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④ have+_____ : Banks have brought up with a new creative product
to customers.
(은행들은 새롭고 독특한 기발한 상품을 고객들에게 내 놓았다.)
[비법 5] 의미를 몰라도 답을 찾는 경우 2가지
단어를 모르거나 의미를 몰라서 틀리는 문제가 적지 않다. 특히 TOEIC 초급자로부터 750점대 수험생에 이르기까지 단어의 막힘은 여간 답답할 수밖에 없다. 다음에 준비해 둔 접미사를 알아두면 품사를 묻는 문제는 거의 놓치지 않고 답할 수 있을 것이다.
형용사형 접미사+명사
(-tive, -sive, -ous, -ful, -able, -ible, -ant, -ent, -tory, -sory, -tic, -al)
Our rival company moved near our office.
(경쟁회사가 우리 사무실 근처로 이전했다.)
From now on, we are going to learn how to create successful
newsletters in this class step by step.
(지금부터 여러분은 이 수업을 통해 성공적인 홍보지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단계적인 학습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A creative idea comes from continual curiosity and study for
everything you are living with everyday.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당신이 매일 함께 생활하고 있는 주변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과 연구로부터 생겨난다.)
② 한정사+명사형 접미사
(-ce, -cy, -ty, -gy, -ment, -tion, -sion, -ance, -ence, -ness, -tor, -cant)
I do have some training responsibility and was the one 
who organized the in-house course in clear writing.
(나는 교육할 책임이 있고 명확한 문서로 실내 과정을 정리했다.)
The current inheritance tax system is having several
adverse effects on the economy.
(현행 상속세 제도는 경제면에서 볼 때 몇 가지 역효과를
가지고 있다.)
All employment applications should be sent by mail by the end of
next month after candidates fill up all of the blanks.
(응시자들은 채용 응시서에 있는 모든 빈 항목들을 채운 뒤 우편을 통해
다음달 말까지 발송해야만 한다.)
Ⅱ. TOEIC에서 자주 틀리는 19문장만 달달 외워라
함정은 대부분 PartⅥ에 나온다. 다음 함정 19문장은 자주 출제되는 문제들로 수험생들이 어려워하고 실제로 자주 틀리는 문제들만 엄선해 정리해 둔 것이다. 따라서 다음 함정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정답으로 의심하라. 찍어도 거의 맞는다.
[함정 1] 고수도 한 번쯤 틀리는 자․타 문제
대부분의 동사는 자동사와 타동사를 겸한다. 그러나 자동사로만 쓰이는 동사가 있고, 타동사로만 쓰이는 동사가 있는데 이러한 동사는 반드시 구분해서 외워야 한다. 최근 2000년 2001년에 출제된 문제 유형은 join into(X), approve for(X)가 있고 ; exceed at(X), regret for(X), reach to(X), raise in(X), raise dramatically(X)는 1999년 이후로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문제이다. 그렇다면 그 많은 동사를 어떻게 외우나? 고민할 필요 없다. 아래 정리한 동사만 알아두면 만사 OK.
raise dramatically(X) → rise dramatically (가격이 오르다)
◆a rise in interest rates 금리 인상 a raise in wages 임금 인상
regret for → regret (~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하다)
exceed at → exceed (~을 능가하다)
discuss about → discuss (~에 관해 논의하다)
disclose about → disclose (~을 밝히다, ~을 드러내다)
resemble with → resemble (~을 닮다)
reach to → reach (~에 도달하다)
approach to → approach (~에 다가가다)
face of → face (~ 에 직면하다)
join into → join (결합하다, 가입하다, 합치다)
approve for → approve (승인하다, 인가하다)
[기출 예문]
Should you decide to join into the newly established physical
A B
fitness club located in Manhattan within this month, you will receive
CD
a new-member discount.
해설 : join은 타동사이다. 따라서 전치사(into)를 동반하지 않고 바로 목적어가
와야 한다.
해석 : 맨해튼에 위치한 새로 설립된 헬스클럽에 등록하면 새 회원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정답 : B (join into → join)
[함정 2] 불완전 자동사 다음에 명사는 No
불완전 자동사는 달달 외워라. 3개월에 1회 정도 출제되는 문제이다. 불완전 자동사는 형용사나 to부정사를 보어로 취한다. 이 문제는 remain, become, appear 중에 나온다. 최근에 remain to be seen(두고볼 일이다), becomes vacancy(X), appears to be improving이 출제되었다.
[기출 예문]
How the newly developed robots will improve the human being's
life remains ______ seen.
(A) being (B) have been (C) been (D) to be
해설 : 불완전 자동사 remain은 형용사나 to-부정사를 보어로 취한다.
remain to be seen 두고(지켜)볼 일이다
해석 : 새로이 개발된 로봇들이 어떻게 인간의 삶을 개선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들은 두고(지켜)볼 일이다.
정답 : (D)
[함정 3] mention to와 return to는 한데 묶어라
최근 경향문제로 수여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mention to는 ‘mention to+목적어+thatSV’ 형태를 취한다. explain us, suggestion us, introduce us, announce us, mention us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 정도만 알아두면 충분하다. 반대로,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 return to, deal with, add to는 묶어서 암기해 두자.
[기출 예문]
A hotel clerk mentioned us that Guests who want their valuables
A B
to be secured are urged to deposit them in the hotel vault.
C D
해설 : mention은 수여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이다.
해석 : 호텔 종업원은 우리에게 귀중품의 안전을 바라는 손님들께서는 호텔
금고에 보관시켜 달라고 말했다.
정답 : A (mentioned us → mentioned to us)
[함정 4] be arrived, be disappeared, be happened, be deteriorated는고수도 한 방 먹는 틀린 표현
능동태의 목적어가 수동태 문장에서 주어가 된다.
주어 + 타동사 + 목적어 + X (능동태)
주어 be+p.p. X by+목적어 (수동태)
따라서 자동사 happen, lie, rise, disappear, look, arrive, deteriorate, function, resemble, remain, settle는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수동태를 만들 수가 없다.
1997년 7월에는 is arrived가 2000년 3월에는 disappear이, 2001년 6월에는 happen이 출제되었다.
[기출 예문]
A great many languages will be disappeared before the end of
A B C D
the 21st century.
해설 : disappear은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이므로 수동태를 만들 수 없다.
해석 : 수많은 언어들이 21세기말 이전에 사라질 것이다.
정답 : B (disappear)
[함정 5] 동사, to-부정사, have pp, be V-ing 뒤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명사가 답이다
거의 매월 출제되는 문제유형이다. 타동사는 목적어를 동반한다. 이 때 목적어는 명사 상당어구가 올 수 있는데, TOEIC은 명사와 대명사만을 묻는다. 따라서 동사 특히 have, give, help, show, offer와 to부정사, have p.p., be V-ing 다음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명사나 목적격 대명사가 답이다.
[기출 예문]
1. When a trainee find any problems with the machine, he should
seek ______ from a supervisor as soon as possible.
(A) advice (B) advisor (C) advisory (D) advisable
해설 : 동사는 명사를 목적어로 취한다. 조언을 구하다는 seek advice이다.
해석 : 실습생은 기계에 문제가 발생한 사실을 알았을 때 가능한
빨리 관리자로부터 조언을 구해야 한다.
정답 : (A)
2. Customers are demanding inform from insurance companies.
A B C D
해설 : be V-ing 다음에 목적어는 명사이다.
해석 : 고객들이 보험회사에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정답 : B (inform → information)
[함정 6] 알고도 틀리는 imperative, import!!ant, necessary,
insist, suggest, recommend, request
동사 insist, urge, demand, require, order, suggest, recommend와 형용사 imperative, necessary, import!!ant, natural, reasonable, strange, surprising, regrettable, pitiful은 that절에 should가 생략된 동사원형을 써야 한다.
TOEIC은 insist, suggest, request, recommend, imperative, necessary 중에 출제된다.
[출제 경향]
The doctor recommended that he undergoes a close inspection. (X)
The doctor recommended that he underwent a close inspection. (X)
The doctor recommended that he had gone a close inspection. (X)
The doctor recommended that he undergo a close inspection. (O)
(의사는 그에게 정밀검사를 받아보라고 권했다.)
[기출 예문]
It is imperative that the development of a new technology _________
to the public.
(A) be announced (B) is announced (C) announced (D) announces
해설 : imperative는 that절에 should가 생략된 동사원형을 써야 한다.
해석 : 새로운 기술의 개발 사실을 일반인에게 공개해야만 한다.
정답 : (A)
[함정 7] 불가산 명사는 이것만 나온다
셀 수 없는 명사 luggage, equipment, furniture, information 앞에는 a(n), many, (a) few, these, both 등을 쓸 수 없고 복수(-s)를 만들 수 없다. 따라서 동사도 단수로 받는다. 1999년 정기 시험에서는 <보기>에 many, these, a, the중에 the를 고르는 문제가 출제된 바 있고, 2000년 정기 시험에서는 The furniture your ordered are(X) → The furniture your ordered is로 고치는 수 일치 문제가 출제되었다.
[기출 예문]
Flight attendant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where passengers
A B C
store their luggages.
D
해설 : 불가산 명사 luggage는 복수를 만들 수 없다.
해석 : 기내 승무원들은 승객들의 짐 보관에 좀 더 주의를 기울이기 바랍니다.
정답 : D (luggages → luggage)
[함정 8] 동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십중팔구 수 일치 문제
동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십중팔구는 수 일치, 태, 시제 일치 유형의 문제로 보면 틀림없다. 대부분은 수 일치 문제로 출제되고 있으나, 동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위 3가지 사항을 반드시 점검하고 넘어가야 한다.
수 일치 문제는 매월 2문제이상 출제되는 단골 문제이다.
다음은 2001년 2002년에 출제된 문제들이다.
The reduction in salaries have angered (X) (→ has)
T he rewards resulting from ~ out-weights (X) (→ out-weight)
The costs of raw materials ~ was (X) (→ cost)
This store have (X) (→ has)
Relative land values has (X) (→ have)
[기출 예문]
1. The accomplishments associated with a career in chemicals
A
far outweighs the demands of duties involved.
BC D
해설 : 첫 전치사 앞에 있는 명사가 주어이다. 즉, 부사구는 삽입구로 동사의
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해석 : 화학제품 분야의 경력과 관련된 업적이 의무사항과 관련된 요구보다
더 중요하다.
정답 : B (far-outweighs → far-outweigh)
2. The contents of this magazine was written and edited by a skillful
A
and experienced reporter and editor to transfer the truth and
B C
avoid some understanding to readers.
D
해설 : 부사구(전치사+명사)는 동사의 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해석 : 잡지의 내용들은 구독자에게 진실을 전달하고 오해를 피할 수 있도록
숙련되고 경험 많은 기자와 편집자들에 의해 작성되고 편집되었다.
정답 : A (was written → were written)
[함정 9] 사람과 사물명사 구분
사람, 사물명사를 구분하는 문제는 최근 4년 간 advisor, attendee, interviewer, assembler, campaigner, rival, president, accountant, performer 중에 출제되었다.
advising(X) → advisor(조언자)
attendance(X) → attendee(출석자)
interviewing(X) → interviewer(면접관)
assembler(X) → assembly(조립)
campaigner(X) → campaign(운동, 홍보)
rivalry(X) → rival(경쟁자)
presidency(X) → president(의장)
account(X) → accountant(회계사)
[기출 예문]
The two rivalries have been competing very hard each other
A B
to be on the top position but finally made an agreement to be
C D
in cooperation.
해설 : 사람명사와 사물명사의 구분. rival n. 경쟁자 rivalry U.C. 경쟁
문맥상 rivals가 적당하다.
해석 : 두 명의 라이벌이 정상의 자리에서 매우 열심히 경쟁을 하고 있다.
그러나 마침내 서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정답 : A (rivalries → rivals)
[함정 10] 대명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찍어도 정답일세
대명사 문제의 기본을 묻는 문제로 거의 매월 출제된다.
수의 일치, 격의 일치를 묻는 문제로 its, their, she, he, they, it, them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찍어도 거의 정답이다.
[기출 예문]
1. Those individuals who are attending the seminar need to do
A B
its best to learn as much as they can.
C D
해설 : 문맥상 its는 those individuals를 가리킨다. 복수를 단수로 받을 수 없다.
해석 : 세미나에 참석하고 있는 각 개인들은 가능한 한 많은 것을 배우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정답 : C (its → their)
2.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anagement and we are directly
A B C
linked with productivity.
D
해설 : 전치사 다음에는 목적격이 와야 한다.
we are에서 are가 함정이고 명사 management가 함정이다.
management 역시 목적어이다. 따라서, 전치사 between에
연결되는 대명사 역시 목적격이 되어야 한다.
해석 : 노사간의 우호적인 관계는 생산성과 직접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
정답 : B (we → us)
[함정 11] this, these는 that, those를 대신할 수 없다
2000년, 2001년 정기 시험에 비교적 자주 나왔던 문제 유형이다.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할 때는 that, those를 써야 한다. 이 때 앞에 나온 명사가 단수이면 that, 복수이면 those를 쓴다. this나 these는 가까운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이므로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해서 쓸 수 없다. 출제 경향은 두 가지인데 다음 예문을 통해서 알아보자.
[기출 예문]
1. I think these items are much better than __________ we saw
last night.
(A) this (B) that (C) those (D) these
해설 :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할 때는 that 또는 those를 써야 한다.
앞에 나온 명사가 items이다. 따라서 복수형 those가 적당하다.
해석 : 이 제품들이 어젯밤 우리가 보았던 것들보다 더 낫다고 생각한다.
정답 : (C)
2. Critics note that the genetic make-up of these animals is onl y
A B
slightly different than those of humans.
C D
해설 : 앞에 나온 명사 genetic make-up를 대신하는 대명사는 that이다.
해석 : 비판자들은 이런 동물들의 유전공학적 구성은 인간과는 약간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답 : D (those → that)
[함정 12] 아차! 방심했네. one , all, many, a few, most, several
one, all, many, a few, most, several등이 대명사로 쓰이면 바로 뒤에 ‘of+the+명사‘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 때, of를 빠뜨리거나 the를 빠뜨려서는 안 된다. of를 생략한 문제는 최근 경향이다.
이 때, the를 대신해서 소유격을 쓸 수 있다.
several of additions(X) → several of the additions
Most of the money, many the customers(X) →
many of the customers, one the country's(X)
→ one  of the country's가 출제된 바 있다.
[기출 예문]
1. All of attempts have been made to ease the transition of affected
A B C D
employees.
해설 : all of다음에는 the를 빠뜨려서는 안 된다.
해석 : 영향 받은 직원들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 모든 시도가 행해졌다.
정답 : A (of attempts → of the attempts)
2. CTA is one the Asian companies that ranked within the top ten
A B C
companies in the world.
D
해설 : one  of 다음에 the를 빠뜨려서는 안 된다.
해석 : CTA는 세계 상위 10위권 기업에 올라 있는 아시아 기업 가운데
하나이다.
정답 : A (one the → one  of the)
[함정 13] for, to, of 다음에 V-ing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99.99%는정답이다
for, to, of 다음에 V-ing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정답이다. 전치사 다음에 동사가 목적어로 오면 to부정사를 써야 하기 때문이다. 거의 매월 출제되는 문제유형이다. 이외에도 동사+동사(X), 동사+for 동사(X), To 명사(X)형태도 등장하는 데 모두 to-부정사로 바꾸는 문제이다. 무조건 외워라.
For passing(X) → To pass, begin convert(X) → begin to convert,
ways of bringing(X) → ways to bring
[기출 예문]
1. A strategy conference of the company composed of 12 directors
A
will be held next month to discuss ways of bringing the
B C
reputation of the company back.
D
해설 : 전치사 다음에 동사가 목적어로 오면 to-부정사를 써야 한다.
해석 : 회사의 명성을 되찾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12명의
임원으로 구성된 전략회의가 다음주에 열릴 예정이다.
정답 : C (of bringing → to bring)
2. To continuing as members of the baseball team, players should
A B C
attend practice every Saturday and Sunday.
D
해설 : 동사가 목적어로 쓰이면 to-부정사를 쓴다.
해석 : 야구부원으로 계속 활동하고자 하는 모든 선수들은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연습에 반드시 참석해야 한다.
정답 : A (To continuing → To continue)
[함정 14] 동명사를 목적어로 쓰는 전치사는 by, on, without, besides,before, after 중에 출제한다
전치사 다음에 동사가 목적어로 오면 동명사를 써야 한다. 시험에는 by, on, without, besides, before, after 중에 나온다. 이 전치사를 벗어나는 문제는 없다.
[기출 예문]
1. I would like to receive some information on to attend the
A B
automotive show which will be held in America for 10 days
C D
from next week.
해설 : 전치사 다음에 동사가 목적어로 오면 동명사를 써야 한다.
해석 : 다음 주부터 미국에서 10일간 열릴 모터쇼에 참석할 수
있는 정보를 얻고 싶습니다.
정답 : B (to attend → attending)
2. Farming will become even more efficient by use new types
A B C
of technology.
D
해설 : 전치사 다음에 동사가 목적어로 오면 동명사를 써야 한다.
해석 : 새로운 형태의 기술사용으로 농업분야의 효율은 더욱 높아지게
될 것이다.
정답 : C (use → using)
[함정 15] 전치사와 전치사는 합방 불가
전치사 다음에는 목적어가 오는 것이 당연하다. 다시 말해서, 명사, 대명사, 동명사 등 명사에 준하는 것이 와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치사 다음에 또 다른 전치사를 중복해서 쓴다는 것은 어법상 말이 안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치사 두 개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정답이다.
접속사 또한 마찬가지이다. 접속사 다음에는 주어+동사인 절을 취한다. 따라서, 접속사를 중복해서 쓸 수 없다
[기출 예문]
1. I am writing to you regarding to your order.
A B C D
해설 : 전치사는 중복해서 쓸 수 없다.
해석 : 귀하의 주문과 관련해서 글을 올립니다.
정답 : C (regarding → regarding)
2. In England, business cards are seldom exchanged unless when
A B
someone's name might be unfamiliar or difficult to pronounce.
C D
해설 : 접속사는 중복해서 쓸 수 없다.
해석 : 영국에서는 이름이 특이하거나 발음이 어려운 경우에만 간혹 명암을
주고받는다.
정답 : B (unless when → unless)
[함정 16] 의미가 같은 단어 또한 합방 불가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보아도 같은 의미의 단어를 불필요하게 중복해 쓸 수 있을까? 이것은 어법상, 문맥상 틀리다.
따라서, 같은 의미의 단어가 중복해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정답이다.
[기출 예문]
1. When you arrive there, you must first initially make a phone call.
A B CD
해설 : 의미가 같은 단어는 중복해 쓸 수 없다.
해석 : 그곳에 도착하면 먼저 당신은 전화를 걸어야 한다.
정답 : C (→ first나 initially 중 하나는 생략)
2. For customer's convenience, the retail shop always sends
AB
a postage-paid envelope to return back the reply for the inquiry.
C D
해설 : return과 back은 같은 의미로 중복해서 쓸 수 없다.
해석 : 고객의 편의를 위해 그 소매 상점은 질문에 대한 답을 발송할 수
있도록 우편요금이 지불된 봉투를 함께 보내고 있다.
정답 : C (to return back → to return)
[함정 17] 관계대명사 다음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수 일치, 수동태,시제일치 문제
문제에 틀린 부분이 보이지 않을 경우 동사를 묻는 문제가 대부분이다. 특히, 관계 대명사 중에 감초인 that다음 동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거의 정답으로 의심하면 틀림없다. 따라서, ‘명사+관계대명사+동사‘ 형태에서 동사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먼저 수 일치 문제가 아닌지 확인, 다음으로 수동태가 아닌지 확인, 마지막으로 시제일치가 아닌지를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틀림없이 이 중 하나가 답이다.
[기출 예문]
1. The incident was suggestive of the events that taking place
AB C
in Los Angeles last June.
D
해설 : 관계 대명사 that뒤에 밑줄이 그어져 있으면 90%는 정답이다.
문맥상 과거이므로 시제를 일치시켜야 한다.
해석 : 그 사고는 지난 6월 LA에서 발생한 사고를 생각나게 했다.
정답 : C (taking → took)
2. There must be some manufacturers in the area who uses
A B
the kind of form you require.
C D
해설 : 선행사인 명사가 복수이므로 동사는 단수가 와야 한다.
해석 : 당신이 요청하는 종류의 형식을 사용하는 몇 몇 제조업자들이
이 지역에 있음이 분명하다.
정답 : B (uses → use)
[함정 18] 비교급 앞에 the를 쓸까 말까
최근에 TOEIC이 변하고 조금씩 어려워지고 있다는 게 사실이다.
다음과 같은 유형의 문제들이 어렵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 유형 또한 2000년대 들어 달라진 전형적인 신경향 TOEIC문제라 할 수 있다. 우리는 항상 the 다음에 습관적으로 최상급을 써 왔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우리의 습관적인 행동에서 체계적인 학습을 요구하는 일종의 압력을 행사하는 문제이다.
문제 중에 of the two가 보이면 ‘the+비교급’이 답이다.
[기출 예문]
1. Of the two candidates, Mr. Brown is ______ qualified for the mayor of
New York city so nobody doubts that he will win the election.
(A) most (B) the better (C) better (D) much
해설 : of the two다음에 비교급은 그 앞에 the를 쓴다.
해석 : 두 명의 후보 중에 브라운 씨가 뉴욕 시장으로서 더 자격이
있으므로 그가 선거에서 선출될 것이라는 사실을 의심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정답 : (B)
[함정 19] 명사와 주격 대명사는 물과 기름의 관계
주어 하나에 동사하나가 원칙이다. 따라서 주격 대명사 he, she, they, it에 밑줄이 그어져 있고 그 앞에 명사가 있으면 정답이다. 주어는 하나면 족하다. 최근 경향을 포함해 4가지 유형으로 출제된다.
1.【명사+주격 대명사+동사】
The merchandise it is being shipped by United Parcel
Service. (→ it 생략)
(물품은 UPS社를 통해서 수송됩니다.)
2.【명사+주격 관계대명사+주격 대명사+동사】
The City Bank is said to be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at it
promotes central bank cooperation. (→ it 생략)
(시티뱅크는 중앙은행과의 협력을 원활하게 하는 국제적인 규모의 은행이다.)
3.【most of[many of, one  of, few of]+명사+주격 대명사+동사】
Most of our choices they provide big-city vitality. (→ they 생략)
(대부분의 선택들은 대도시의 활력을 주었다.)
4.【명사+동사+주격 대명사】
The manufacturer refunded he the loan which he had taken out
at the bank. (→ he 생략)
(그 제조업자는 은행에서 대출한 돈을 상환했다.)
[기출 예문]
Two broad categories of fees that they are for tuition for regular
A B C
school education and extra curricular works.
D
해설 : 주어는 중복해서 쓸 수 없다. 이미 앞에 주어인 fees가 존재하는데
이것을 다시 주격대명사 they로 받을 수는 없다.
해석 : 크게 두 가지로 나눈 수수료 중 하나는 정규과목 수업료
이고 또 다른 한 가지는 과외 활동비이다.
정답 : C (→ they 생략)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1. 한자를 외우려 하지 말라
수많은 한자를 외운다는 것은 시간이 걸리는 일이다. 그러므로 외워서 해결할 일이 아니다.
그것보다는기본으로 돌아가서 이해해야 한다.
2. 한자를 구성하는기본자의 의미를 파악하라
한자를 구성하는 기본 글자는몇개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기본글자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3.기본 핵심자와 그 친구들을 묶어서 파악하라
기본자를 파악했으면 그와 유사한 글자들을 비교해 본다. 같은 뿌리에서 나온 글자들을 한꺼번에
파악할 때 이해가 빠르다
4.이야기를 만들어라
기본자로 이야기를 만들어 본다. 절대 잊혀지지 않는다.
한자가 간단하고 단순한 문자임을 깨닿게 된다.
-----------------------------------------------------------------------
*가갸거겨 기초 한자
-----------------------------------------------------------------------
하늘, , 머리, 뚜껑, 하나, 보호, 막다
마무리, 핵심,
丿지팡이 지시, 추가, , 꼬리
씌우다, 껍데기, , 담장,연장
지붕, 보호, 언덕, 껍데기
L 广
사람, 지붕, 덮다, 나누다, 걷다
욕심, 욕망, , 마음
울타리, , , 머리, 건물, 덩어리
, 우두머리, 말하다, 밝히다, 희다
, 분간하다
, 구부리다, 생명, 조각맞춤
걷다, , 뿌리, 끄트머리
, , 나무, 자라나다, 무기,
廿
나무조각, 무기
, 나누다,
, 저녁, 자라다, 고기, ,
, , 꼬리
, 뿌리, 꼬리
, 무기, 날카롭다
깃털, 없는 동물,
F ㅋ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논문이란? & 논문 작성법 (원덕영 님)

Ⅰ 논문이란 ?
1. 논문의 개념
논문이란 어떤 事理에 관하여 체계적, 과학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게 일정한 형식을 갖추어 정리한 글이다. 즉 논문은 Research Paper, Thesis Dissertation 등을 뜻하는 것이다.
2. 논문을 쓰는 자세
⑴ 내용적인 면
① 독창성 : 자기의 주장, 사상 또는 발견의 내용이 참신해야 하며, 그것이 객관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 소명 자료가 있어야 한다.
② 방증성 : 확실하고도 충분한 증거를 일정한 논리와 방법에 따라 제시하여 객관적으로 타당성이 입증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③ 객관성 : 주관적인 해석이나, 이론의 신념화를 피하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기술하여야 한다.
④ 관계성 : 여러 가지 자료를 수집하고 검사하여, 그것을 정리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며, 논리의 연속성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⑵ 기술적인 면
① 정확성 : 내용, 기록, 자료 등 모든 분야에서 정확성은 논문의 생명이다.
② 간결성 : 불필요한 전개를 배제하고 내용 및 중심 사상이 적합한 규모로 이루어 져야 한다.
3. 논문의 종류
논문의 종류에는 article, monograph, treatise, essay dissertaion, thesis, paper, report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 졸업논문은,
① 학생들이 전공 과정을 통하여 배운 과목들을 종합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② 학생 스스로의 힘에 의해 연구하고 발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③ 본격적인 의미의 독창성을 기대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학생들이 배운 것을 얼마나 정확하게 객관적으 로, 일관성 있게 표현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4. 제목의 선정
논제를 정할 때는 될 수 있는 대로 좁게 잡아야 논문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좁히는 동시에 연구 대상의 특정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Ⅱ 논문의 구성
1. 논문의 구성은 어떻게 하는가?
⑴ 구성
① 목차 (Contents)
② 서론 (Introduction)
③ 본론 (Main body)
④ 결론 (Conclusion)
⑤ 참고문헌 (Bibliography)
⑵ 목차 : 논문의 뼈대이며 틀이다.
예) Ⅰ
1.
2.
※ 주의: 논문에서 같은 면에 두개의 장(Chapter)가 함께 들어갈 수 없다. 즉 하나의 Chapter가 끝나면 새로이 시작하는 Chapter는 반드시 다음장에 쓰도록 해야 한다.(여기에서 Chapter란 위의 Ⅰ,Ⅱ,Ⅲ 등을 가르킨다)
2. 논문 구성의 기본 형식
서론부 : 문제를 제기하고,
본론부 : 제기된 문제들을 논증하며,
결론부 : 본론부에서 논증한 내용이나 결과를 토대로 서론부에서 제기했던 문제들에 대한 판단을 내리고 논문을 매듭짓는다.
서론, 본론, 결론으로 이어지는 이 삼단 구성의 각 부분 사이에는 서로간의 논리상의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3. 각 부분의 내용
⑴ 서론부
① 연구의 주제가 어떤 성질의 것이며, 이것이 지니는 의의가 무엇인지를 먼저 밝힌다. 주제가 어떤 학문 분야(예:한국의 산업정치)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이며, 그 논제를 택하여 연구하게 된 동기나 이유가 명백하게 천명되어야 한다.
② 연구의 목적을 밝힌다. 논문 작성에 앞서 목적의식을 뚜렷하게 가져야 한다.
③ 연구 주제와 관계되는 이론적 배경이나 연구 상황, 또는 설정된 가설 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④ 연구의 범위와 한계를 미리 밝혀 둔다. 범위와 한계를 밝히는 데는 부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⑤ 연구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⑥ 서론부에서 위의 내용들을 밝히는데 있어서 주의할 점은 장황한 설명을 피하고 간결하고 잘 다듬어진 문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⑵ 본론부
논문의 몸통에 해당하는 중심, 핵심 부분이다. 서론에서 명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키 위하여 제기된 문제들을 한정된 범위 내에서 특정연구방법에 따라 본격적으로 정리, 분석, 설명, 평가하는 논리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한다.
① 연구의 주제, 범위, 구성의 방법을 논리적으로 일관성 있게 전개.
② 수집된 자료의 효과적인 구사
③ 통계적 자료, 도표, 수표 등은 문장으로써 개요나 요점을 설명
④ 연구 과정의 구체적인 전개 과정이나 자세한 방법론의 논의를 제시하고 결과의 자료나 해석의 논의
⑤ 작성시 연구 결과를 인용할 때 소정의 방법에 따른 정확한 출처를 밝힌다.
⑥ 전개시 먼저 개괄적인 것에서 세부적, 구체적으로 파고들며, 핵심적 줄거리나 본질적 부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⑶ 결론부
논문의 마무리 부분으로 서론에서 문제가 제기되고 본론에서 논의 후, 연구 결과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논리적 귀결이다.
① 본론의 연구․논의 중 중요한 결과를 지적, 판단을 내린다.
② 본론 전체를 요약하여 결론을 맺는다.
③ 다루지 못한 과제, 전망, 방향 제시 등을 한다.
④ 요약은 핵심적이어야 하며, 결론은 연구논문의 열매라 생각하고 간명하면서도 논리적으로 알찬 것이 되어야 한다.
※ 논문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론부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서론에서 언급된 이론 및 방법으로 서론에서 언급된 범위만큼 연구되어지며, 서론에서 밝힌 목적에 대한 결론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즉, 서론부에서부터 본론부를 거쳐 결론부에 이르는 논리가 명확해야 한다.
4. 문장 표현
⑴ 정확성
① 문자 표현이 문법적으로 정확하여야 한다.
② 단어, 특히 학술적 용어나 술어의 사용이 정확해야 하고 적절하여야 한다.
③ 논리적으로 정연한 문장이어야 한다.
⑵ 간결성
① 논문의 문체로는 간결체와 건조체가 적합하다.
② 지나칠 정도로 비슷한 말을 반복하거나 불필요한 부연이나 중복을 피한다.
⑶ 통일성
① 하나의 문장은 길이와 관계없이 하나의 중심 화제로 이루어지도록 통일성을 지녀야 한다.
② 논문 전체적으로 문체를 통일하여야 한다.
③ 자주 사용하는 낱말이나 문구의 표현 방법도 통일성을 지녀야 한다.
⑷ 평이성
① 문장의 정확성, 간결성 및 통일성은 평이성을 위한 1차적 요건들이다.
② 지나친 외래어나 한자의 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Ⅲ 인용(Quotation)
1. 인용문 기입이란?
인용문이란 논문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남의 글이 꼭 필요할 때 따오는 것을 말한다.
2. 인용시 유의 사항
⑴ 주제에 맞는 인용할 충분한 가치가 있는 자료여야 한다.
⑵ 합리적으로 조화시켜야 한다.
⑶ 인용의 근거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⑷ 근거는 인용 자가 직접 입수, 확인한 것이어야 한다.
⑸ 인용문은 되도록 짧게 한다.
3. 직접 인용
3행이상이 되는 긴 인용 문구는 줄을 바꾸고 인용문 전체를 좌우로 4칸의 간격을 두고 시작하며 좌우 모두 2칸의 간격을 두며, 작은 글씨로 적는다.
4. 간접 인용
남의 글을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본인의 말로 바꾸어 인용하는 것을 말한다.
Ⅳ 각주(Foot Note)
1. 각주의 목적
⑴ 증거 자료의 정당성을 밝히기 위하여 널리 알려지지 못한 사실에 대한 모든 중요한 서술은 그 정당성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자료에 의하여 뒷받침되어야 한다.
⑵ 참고로한 사실을 밝히기 위하여 중요한 사실의 언급, 인용 등 다른 저자로부터 차용한 추론에 대해서는 각주를 달아야 한다. 이는 직접 인용은 물론 간접 인용도 마찬가지이다.
⑶ 본문에서 다루기 곤란한 문제를 처리할 때 사용한다.
2. 각주의 종류
⑴ 참조주
① 인용 참고한 자료의 출처를 밝힘으로써 논지의 정당성, 입증의 정확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 즉 방증을 목적으로 한다.
② 참고한 자료, 참고한 남의 이론이나 주장에 대하여 출처를 밝히는 것은 또한 독자에 대한 봉사, 그리고 원저자에 대한 예의의 표현이다.
⑵ 내용주
본문의 내용을 부연할 때 이것을 따로 떼어 내어 설명하는데 사용한다. 불필요한 내용주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3. 각주번호
참고 부분이 끝나는 부분에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예) ․․․․․․하였다는 것이다.1)
․․․․․․할 수 있을 것이다."1)
․․․․․․그럴 수가 있다.'1)
'공정으로서의 정의'1)에 의하면
4. 첫번째 주(완전주)
⑴ 단행본
각주 기입의 기본적인 사항을 순서대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 저자, [서명:부제] (출판도시:출판사, 년도), p.인용페이지.
① 저자, 편자 또는 역자의 이름
저자가 복수일 때 3인까지는 전부 기재하고 4인 이상일 경우에는 표제지에 열거된 맨 처음 저자만을 적고, 동양인명이면 '등', '외3명' 등으로 표기하고 서양인이면 'et al.'을 붙여서 단독저서가 아님을 표기한다.
② 편저일 경우
저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기하나 이름뒤에 국문인 경우 編, 영문인 경우는 (ed.)를 삽입하여 편저임을 표기한다.(영문의 편저자가 2인이상일 경우는 eds.임)
③ 역저일 경우
원저자 이름 다음에 슬래쉬(/)로 표기하고 역자를 표기한다.
Giovani Sartori/이행 譯, [민주주의론의 재조명]
④ 서명
- 단행본의 서명은 표제에 있는 대로 적을 것.
-서명에 부제가 있을 때에는 주제 다음에 콜른(:)을 찍고 부제를 쓸것.
- 서명은 꺽음표([])를 사용한다.
⑤ 업서명과 권수
여러 권으로 된 업서(Series)인 경우에는 서명 다음에 콤마(,)를 찍고 업서명을 표시한다(반드시 표기할 필요는 없음). 업서명 다음에는 그 책이 차지하는 권이나 호를 붙인다.
⑥ 판차
초판(1st ed.)이 아닌 경우에는 판차를 서명에 적는다.
⑦ 출판사항
(출판도시:출판사, 년도)순으로 적고 괄호로 묶는다.
⑧ 인용한 페이지 표시
-한면만 이용한 경우: p.13과 같이 표기하고 끝에 마침표를 찍는다.
-두 페이지 이상을 인용한 경우에는 pp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20에서 21페이지까지 인용한 경우에 pp.20f.로 표기하는 방법도 있으나 가급적 pp.20-21.과 같이 표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⑨ 인용한 책이 2권 이상일 경우 세미콜른(;)을 계속하여 쓴다.
(예: 홍길동, [정치학] (서울:길동출판사, 1994), p.11; 전우치, [한국정치] (서울:정치사, 1994), pp.140-145.
⑩ 주로 한권을 주로 인용하고 다른 여러가지 책을 부차적으로 인용하는 경우에는 앞에 주로 인용한 책명을 표기하고 뒤에 부차적인 참고서적을 열거한다.
(예1: 이연걸, [한국민주주의론] (서울:민주사, 1994), pp.111 -112; 참조, 이극찬, [정치학] (서울:법문사, 1994), p.111; 한승주, [정치경제학] (서울:서울사, 1994), p. 117.
⑵ 논문집 및 여러 논문을 편집한 단행본
논문집 및 여러 논문을 편집한 단행본에서 특정한 논문 만을 인용할 경우의 기본적인 기입 순서는 다음과 같다.
논문의 저자, "논문명:부제", 편저자 ed., [논문집 혹은 서명] (출판도시:출판사, 출판년도), 인용페이지.
(예: 박지숙, "한국권위주의 연구", 김기옥 편, [한국학] (서울:한국사, 1994), p.1170.
그러나 정간물의 경우에는 편저자를 생략할 수 있다.
(예: 박한얼, "한국의 정치부패", [한국정치학회보], 제23호 (서울:한국정치학회, 1993), p.115.
기타의 경우에는 단행본의 예에 따른다.
⑶ 영문의 경우
이름을 앞에 성을 뒤에 기록하고 서명은 이텔릭체(ithelic)로 표기한다.
(예: G. Sartori, Eqeul and Sameness (L.A.:California Univ. Pr., 1994), p.1.
⑷ 잡지 및 신문의 경우
잡지 저자 및 출판사의 이름을 생략할 수 있으며, 신문의 경우에 있어서는 저자, 출판사, 페이지를 생략할 수 있다.
예) [한겨례신문], 8월 18일자.
예) Time, July 21, 1994.
예) [말], 1994년 8월호, p.123.
5. 반복주(간편주)
반복주라 함은 이미 앞의 주에서 언급한 각주에 등장한 문헌들을 알아볼 수 있는 한 최소한도로 간편화 하는 것을 뜻한다.
⑴ 연속된(바로 앞에서 언급한) 문헌과 동일한 경우
① 단행본의 경우
저자, 서명 등 모든 것을 생략하고 앞의 책과 동일하다는 사실과 인용한 페이지만을 밝힌다.
예1): (주3) 박한얼, [한국정치론] (서울:한얼사, 1994), p. 120.
(주4) [앞의 책], p.127.(인용한 페이지는 다른 경우)
(주4) [앞의 책]. (인용한 페이지도 동일한 경우)
예2): (주3) 박한얼, [한국정치론] (서울:한얼사, 1994), p. 120.
(주4) Ibid., p.127. (인용한 페이지가 다른 경우)
(주4) Ibid. (인용한 페이지도 동일한 경우)
※ 이 경우 예1)은 우리말 식으로 예2)는 영문식으로 표기한 것인데, 예1)과 같이 우리말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② 논문의 경우
논문은 [앞의 책]이라는 표현 대신에 "앞의 글"이라는 표현을 쓴다.
예1): (주4) "앞의 글", p.127.
⑵ 연속되지 않은 경우
이 경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논문 전체적으로 동일한 저자의 저서를 한권만 인용한 경우와 두권 이상인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두권 이상인 경우 그 저서들이 모두 출판년도가 다를 경우와 동일한 출판년도일 경우도 세붑해서 표기하여야 한다.
① 한권인 경우
저자와 인용한 페이지만을 표기한다.
예) 박한얼, [앞의 책], p.127.(국문서적의 경우)
예) 박한얼, op. cit., p.127.(영문서적의 경우)
*. 즉 바로 앞의 책을 연속 인용하는 경우에는 ibid를 그렇지 않고 앞에서 인용한 경우(예: 앞의 주 이전에서 인용한 경우)는 op. cit.를 쓰는 것이 원칙이나 ibid로 써도 상관없다.
② 두권 이상이고 출판년도가 모두 다른 경우
저자, 출판년도, 그리고 인용한 페이지를 표기한다(예를 들어 1994년에 출간된 [한국정치론]과 1993년에 출간된 [한국산업정치]라는 책이 있을 경우
예1) 박한얼, [앞의 책] (1993), p.127.([한국산업정치]를 인용한 경우)
예2) 박한얼, [앞의 책] (1994), p.100.([한국정치론]을 인용한 경우)
※ 이 경우 출판년도를 서명 앞에 두는 경우도 있다.
③ 두권 이상이고 동일한 출판년도가 있는 경우
저자, 서명, 그리고 인용한 페이지를 표기한다.
예) 박한얼, [한국의 권위주의], p.110.
6. 설명 및 인용을 겸하는 주
아래와 같이 설명과 인용을 겸하여 각각의 이론의 대표자들과 그 출처를 밝힌다.
예) 정치발전과 경제성장의 관계에 대하여는 '정비례설', '무관설', 그리고 '반비례설'이 있다. '정비례설'은, 박한얼, [정치와 경제] (서울:한얼사, 1994), p.127, '무관설'은 조덕팔, [정치, 그리고 경제] (서울:덕팔사, 1994), pp.127-129, 그리고 '반비례설'은 김종팔, [정치는 정치, 경제는 경제] (서울:종팔사, 1994), p.129를 각각 참고할 것.
Ⅴ 참고문헌(Bibriography)
참고문헌은 논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흔이 학사논문의 경우 목차와 서론, 그리고 참고문헌만 보면 그 논문을 평가할 수 있다고들 하는데 이는 논문을 작성하는데 그 주제와 서론에서 밝힌 내용들에 적합한 문헌을 참고하였는가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을 작성하는데 있어서는 특별한 예외가 없는 한 각주에 열거된 서적만으로 작성한다. 또한 작성하는데 주의 할 점은 단행본, 논문, 잡지 및 신문의 세가지 항복으로 나누어 작성하며, 국문을 앞에 외국문헌을 뒤에 위치시키며, 저자별 가나다 순으로 작성한다. 또한 저자와 서명 뒤에는 '마침표(.)'로 표기하고 출판사항의 괄호를 풀고 인용한 페이지는 적지 않는다.
1. 국문의 경우
⑴ 단행본(서명을 이중 꺽음표({})로 표기한다.
각주 예) 박한얼, [한국의 산업정치] (서울:한얼사, 1992) p.12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의 산업정치}. 서울:한얼사, 1992.
⑵ 논문
① 학술지 게제 논문(논문명을 꺽음표([])로 표기하고 논문집 명(서명)을 이중 꺽음표({})로 표기한다.
각주 예)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한국정치학회보], 제23집 제2호 (서울:법문사, 1997), p.11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한국정치학회보}. 제23집 제2호. 서울:법문사, 1997.
② 편저자와 논문의 저자가 다른 경우
각주 예)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김종팔 편, [한국정치론] (서울:법문사, 1997), p.12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김종팔 편. {한국정치론}. 서울:법문사, 1997.
③ 학위논문의 경우
각주 예)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멍대:석사논문, 1994), p.127.
참고문헌)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멍대:석사논문, 1994.
⑶ 잡지 및 신문
① 신문(3편를 기준으로 3편 미만인 경우는 일자를 열거하고 이상인 경우에는 맨 앞의 일자만을 표기하고 "외 X편"로 표기한다.
각주 예) [한겨레신문] 1994년 8월 15일자.
참고문헌) {한겨레신문}. 1994년 8월 15일자, 1994년 9월 6일자. (3편 미만)
[한겨레신문], 1994년 8월 15일자외 2편. (3편 이상)
② 잡지(3편를 기준으로 3편 미만인 경우는 일자를 열거하고 이상인 경우에는 맨 앞의 일자만을 표기하고 "외 X편"로 표기한다.
각주 예) [말] 1994년 8월호, p.170.
참고문헌) {말}. 1994년 8월호, 1994년 10월호. (3편 미만)
{말}. 1994년 8월호외 2편. (3편 이상)
2. 영문인 경우
영문의 경우에는 저자에 있어서 성과 이름의 위치를 바꾼다. 즉 우리말과 같이 성을 앞에 이름을 뒤에 위치시키며, 각주에서 First Name을 약자로 표기한 것을 되도록이면 Full Name으로 표기한다(그러나 약자도 무방함).
⑴ 단행본
각주 예) K. Marx, Capital (N.Y.:Cambridge Univ. Pr., 1990), p.117.
참고문헌) Mark, Karl. Capital. N.Y.:Cambridge Univ. Pr., 1990.
⑵ 논문
① 학술지
각주 예) Jean-Francois, Lyotard,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Political Theory. (Wisconsin:The Univ. of Wisconsin Pr., 1983), pp.13-14.
참고문헌) Lyotard, Jean-Francois.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Political Theory. Wisconsin:The Univ. of Wisconsin Pr., 1983.
② 편저(논문의 저자는 우리식으로 편저자는 서양식으로 표기한다, 다만 편저자 다음에 (ed.)를 붙여서 편저임을 표기한다)
각주 예) Jean-Francois, Lyotard,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I. Hassan(ed.) Political Theory. (N.Y.: New York Univ. Pr., 1983), pp.13-14.
참고문헌) Lyotard, Jean-Francois.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I. Hassan(ed.) Political Theory. N.Y.: New York Univ. Pr., 1983.
* 논문의 경우 그 논문을 포함하고 있는 단행본 또는 학술지 명을 in 으로 표기하여 줌이 원칙이다.
③ 신문 및 잡지는 국문과 동일한 식으로 표기하되 월-일, 년도순으로 표기한다.
각주 예) Time, July 19, 1994, p.12.
참고문헌) Time, July 19, 1994.
Ⅵ 워드프로세서로 논문 작성하기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아래한글 2.x]을 기준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1. 본문
⑴ 용지 = A4
⑵ 여백주기
① 위 쪽: 20
② 아래쪽: 20
③ 왼 쪽: 25
④ 오른쪽: 25
⑤ 머리말: 15
⑥ 꼬리말: 15
⑶ 문단모양
① 왼쪽여백: 0
② 오른여백: 0
③ 들여쓰기: 0
④ 줄 간 격: 170-180
⑤ 문 단 위: 0
⑥ 문단아래: 0
⑦ 낱말간격: 0
⑧ 정렬방식: 혼합
⑷ 글 크기 = 11
⑸ 각주의 글 크기 = 10
2. 각주
⑴ 문단모양
① 왼쪽여백: 4
② 오른여백: 0
③ 들여쓰기: -4
④ 줄 간 격: 125-130
⑤ 문 단 위: 0
⑥ 문단아래: 0
⑦ 낱말간격: 0
⑧ 정렬방식: 혼합
⑵ 각주기재 요령
① 1-9번까지의 1단위 번호
각주에서 번호를 한 칸 뒤로 밀고 괄호를 치고 한 칸 띄우고 각주를 입력한다.
② 10번 이후의 번호
각주에서 번호를 뒤로 한 칸 밀지 않고 괄호를 치고 한 칸 띄우고 각주를 입력한다.
3. 각 제목의 크기
보통 제목의 수를 세 가지로 분류하여 기록할 경우
Ⅰ. 한국의 미래 (20호)
1. 오늘과 내일 (15호)
⑴ 오늘 (12호)

한국의 민주화와 산업화
- 민주화가 산업화에 미친 영향 -
-----------------------------------------
법 학 과
홍 길 동
한 국 대 학 교
------------------------------------------
한국의 민주화와 산업화
- 민주화가 산업화에 미친 영향 -
------------------------------------------
이 논문을 법학학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지도교수 0 0 0 (인)
2000. 9. .
법 학 과

홍길동
한 국 대 학 교
목 차
Ⅰ. 서 론 ..............................1
Ⅱ. 지방자치의 의미와 정치제도화 ...........5
1. 지방자치의 의미 ............................10
2. 지방자치의 정치제도화 ....................11
Ⅲ. 한국 중앙집권화의 문제점 ...............13
1. 한국 중앙집권화의 배경 .....................15
2. 한국 중앙집권화의 성격 .....................18
3. 한국 중앙집권화의 문제점 ...................20
Ⅳ. 지방자치제 정착을 위한 조건 ...........25
1. 정치적. 사회적 조건 ...........................27
2. 제도적. 운영적 조건 ..........................29
Ⅴ. 한국의 민주주의적 지방의회 선거구제도 ....30
Ⅵ. 결 론 .............................33
□ 참 고 문 헌 ...........................35
--------------------------------------------------------
먼저 [하버마스(Jurgen Habermas)]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계몽주의․합리주의의 미완성 프로젝트를 제거하려는 음모"라고 비판한다. 그는 모더니즘의 반대자들을 보수주의자로 규정하고 이를 다시 [청년보수주의자들(모더니즘에 대한 반대자들;antimodernism)], [장년보수주의자들(모더니즘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것을 주장하는 자들; premodernism)] 그리고 [신보수주의자들(후기모더니즘을 인정하는 자들;postmodernism)]로 나누어 비판한다.

이와는 달리 [리오따드(Jean-Francois Lyotard)]는 하버마스의 앞서의 주장을 반박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발생상태에 있는 모더니즘이지 최후에 도달한 모더니즘이 아니며, 모더니즘 안에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 그자체로 나타내는 것이이고 새로운 표현을 쁹는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임무라 강조한다.

[안드레아스 후이센(Andeas Huyssen)]은 "포스트모더니즘이 비록 짜증스러운 것이라 할 지라도 우리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그것이 우리의 문제거리이자 희망"이라 결론짓고, 그것이 나갈 4가지 방향에 대해서 언급하는데, ① 서국제국주의와 무절제한 근대화에 반대하는 투쟁, ② 여권운동, ③ 생태학과 환경보존 문제 그리고 ④ 비서구권문화에 대한 지배나 정복이 아닌 새로운 접근이 그것이다.

이 밖에도 [테리 이글턴(Terry Eagleton)]은 포스트모더니즘을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이 잘못결합된 문화현상'아라고 이해하고, '새로운 혁명적 예술 혹은 문화가 포스트모더니즘처럼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의 교훈으로 얻어져야 하지만 그것이 탈정치적인 방식으로 결합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며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을 비정치적.비역사적인 것'이라 배척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을 후기자본주의의 지배적인 '문화적 우세

--------------------------------------------------------

□ 참 고 문 헌
Ⅰ 단 행 본
1. 국내서적(또는 국문)
김기우. {정치발전이론: 정치발전 모델의 분석적 비판}. 서울:박영사, 1986.
김장권. {정당정치, 지방자치의 발전과 시민사회} 서울:한국사회학회, 1992.
박문옥. {한국정부론}. 서울:신천사, 1990.
손재식. {현대 지방행정론}. 서울:양우사, 1971.
2. 번역서적(국문과 같이 쓸 수도 있다)
Sartori G./이행(역). {민주주의 이론의 재조명 Ⅰ}. 서울:인간사랑, 1990.
3. 외국서적(또는 "영문"으로 쓰기도 함)
Huyssen, Andeas. Crisis of Modernity. Colorado:Westview Pr., 1986.
Ⅱ 논 문
1. 국내논문
박한얼. [한국산업정치의 미래], {한국정치학회보}. 제23집 제2호. 서울:법문사, 1997.
2. 외국논문
Lyotard, Jean-Francois. "Answering The Question: What is Postmodernism?", in I. Hassan(ed.) Political Theory. N.Y.: New York Univ. Pr., 1983.
Ⅲ 신문 및 잡지
{한겨례신문} 8월 15일자.
{말} 1994년 8월호.
Time, July 29, 1994.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見かえり峠 - 嶋三喜夫

作詞 ; 關口義明 作曲 ; 水森英夫 一 韓譯 : masshiro


모리노 히구레니 히구라시 나이테
森の 日暮れに ひぐらし 鳴いて
황혼이 지는 숲에 매미가 울어

아노코오 시키리니 코이시가루
あの娘を しきりに 戀しがる
그녀를 줄곧 그리워하네

히토리가 세쓰나이 마쓰리노 키세쓰
ひとりが 切ない 祭りの 季節
혼자서는 애달픈 축제의 계절

후에야 타이코와 하샤이데모
笛や 太鼓は はしゃいでも
피리랑 북은 신명나게 떠들썩해도

아레모 유메 코레모 유메
あれも夢 これも夢
이것도 꿈 저것도 꿈

토우이 와카레노 미카에리 토우게
遠い 別れの 見かえり 峠
머나먼 이별의 뒤돌아보는 고개

二.
쿠리가 하지케루 우라야마 즈타이
栗が はじける 裏山 ずたい
알밤이 벌어지네 뒷산 따라서

카타 요세 아루이타 카에리 미치
肩 よせ 步いた 歸り 道
어깨를 붙이고 걸어서 돌아오던 길

유우게노 케무리가 타나비쿠 무코우
夕げの けむりが たなびく 向こう
저녁밥 짓는 연기 길게 드리워지네

소라와 키레이나 아카네 이로
空は きれいな あかね 色
하늘은 아름다운 검붉은 색

아레모 유메 코레모 유메
あれも 夢 これも 夢
이것도 꿈 저것도 꿈

스기타 쥬우넨 미카에리 토우게
過ぎた 十年 見かえり 峠
십년이나 지났네 뒤돌아보는 고개

三.
카제노 타요리모 토다에타 마마노
風の 便りも 途絶えた ままの
바람결 소식도 끊어진 채로

아노코와 이쿠쓰니 낫타카토
あの娘は いくつに なったかと
그녀는 몇살이나 되었을꼬

오야지노 챠완니 사케 쓰키나가라
おやじの 茶わんに 酒 つきながら
아버지의 사발에 술을 따르시며

유우베 오후쿠로 히토리고토
ゆうべ おふくろ ひとり言
어젯밤 어머니의 혼잣말

아레모 유메 코레모 유메
あれも 夢 これも 夢
이것도 꿈 저것도 꿈

스스키 유레테루 미카에리 토우게
すすき ゆれてる 見かえり 峠
억새 흔들리네 뒤돌아보는 고개



見かえり峠 - 嶋三喜夫,


'한번 배워볼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를 빨리 익히려면  (1) 2008.09.30
논문 쓰는 방법  (0) 2008.09.30
이런운동 매일하면 체중 10kg감량 ~  (4) 2008.09.16
공사관련 영어공부  (0) 2008.09.10
When I need you  (1) 2008.08.27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