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有意事必成 where there,s a will there,s a way 뜻을 품고 있으면 이룰수있다 010-7641-1981 평강이와유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475)
Buddhism 佛敎 (146)
꿈 소망 사랑 희망 놀이터 (0)
문화공동체 유자의세움 (0)
-------------------- (0)
평강이 (169)
좋은 글귀 (588)
고사성어 이야기 (165)
시행관련 (198)
사업계획서 (34)
컴 배우기 (180)
참고사항 (191)
맛집알고 여행하기 (164)
문서 서식 (74)
임시보관함 (103)
기본카테고리 (176)
가요방 (146)
팝송방 (261)
옛 노래 (153)
뮤직비디오 (190)
보민앨범 (0)
아하 그렇구나 (334)
건축관련 (101)
토목관련 (70)
새로운 카테고리 (122)
물리와화학 (55)
자갈치알리미 (76)
인생이란 (82)
장기표의 시사논평 (371)
한번 배워볼까요 (110)
스크랩 (215)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4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토목관련'에 해당되는 글 70건

  1. 2006.03.28 토목 재료의 종류와 성질
  2. 2006.01.25 제경비 산정기준
  3. 2006.01.25 S.C.W 공법 및 적산 요령
  4. 2006.01.24 P.C BOX 암거 조립공정

토목 재료의 종류와 성질

토목 재료라는 것은 토목 공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재료를 말한다. 토목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토목 재료의 종류, 성질, 용도, 규격 및 시험법 등을 잘 이해하고, 사용 목적에 알맞은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최근에 새로운 재료가 많이 개발되어 특수한 목적이나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본 단원에서는 토목 공사에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 재료 등에 관하여 공부해 보고자 한다.

Ⅰ-1. 토목 재료의 종류와 성질

토목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을 잘 하기 위해서는 토목 재료의 종류와 성질을 알고, 사용 목적에 알맞은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학습 목표

● 토목 재료의 종류와 성질을 알고, 이를 잘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 콘크리트 재료, 역청 재료 및 금속 재료의 특성을 알고, 그 시험 방법을 이해하고 시험 능력을 기른다.

안전 및 유의 사항

● 콘크리트 재료의 실험 도중, 감전 사고 등의 안전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교사의 지시를 따르며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 각종 재료의 실험시 기계?기구의 특성 및 사용법 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험에 임한다.

(1) 토목 재료의 종류

토목 재료를 생산 방법, 용도 및 구성 물질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다.

가. 생산 방법에 따른 분류

토목 재료는 생산 방법에 따라 천연 재료와 인공 재료로 나뉜다.

(가) 천연 재료

천연적으로 생산되는 것으로서, 흙, 모래, 자갈, 석재, 목재, 천연 아스팔트, 천연 수지 등이 있다.

(나) 인공 재료

재료를 가공하여 생산하는 것으로서, 시멘트, 콘크리트, 점토 제품, 금속 재료, 석유 아스팔트, 합성 수지 및 합성 고무 등이 있다.

나. 용도에 따른 분류

토목 재료는 용도에 따라 구조 주재료와 부재료로 나뉜다.

(가) 구조 주재료

구조물의 주체를 이루며, 강도 및 내구성이 필요한 재료로서, 금속 재료, 콘크리트, 석재 및 목재 등이 있다.

(나) 부재료

구조 주재료에 더 보태어 그 성질을 개량, 보호, 완충 및 장식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재료로서 혼화 재료, 도료, 고무, 합성 섬유 및 접착제 등이 있다.

다. 구성 물질에 따른 분류

토목 재료를 구성 물질에 따라 나누면 유기 재료와 무기 재료로 나눌 수 있다.

???? 목재

??????유기 재료???????? 역청 재료(아스팔트, 콜타르)

?? ???? 고분자 재료(합성 수지, 합성 섬유, 합성 고무, 천연 고무등)

토목 ???????? ????철 금속 재료(강, 주철)

재료 ?? ???? 금속 재료 ??????

?? ?? ????비철 금속 재료(구리, 알루미늄, 주석, 니켈 등)

(2) 토목 재료의 요건

토목 재료는 여러 가지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토목 구조물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만들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일반적인 요건을 들면 다음과 같다.

㉮ 사용 목적에 알맞은 공학적 성질을 가져야 한다.

㉯ 사용 환경에 안전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 생산량이 많아야 한다.

이 밖에도 운반, 가공이 쉬워야 하며, 값이 싸야 한다.

(3) 재료의 규격

공업 제품의 규격을 정하여 모양, 치수, 품질, 사용 방법 및 시험 방법 등을 국가적 또는 국제적으로 통일하면 품질의 개선과 향상에 도움이 되며, 소비자와 생산자에게도 이익이 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이 규격을 한국 산업 규격(KS)으로 정하고 있다. 한국 산업 규격은 [표 1-1]과 같이 15개의 부문으로 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토목 재료는 분류 기호 F 및 B, D,







해당자료는 한글2002나 워디안 자료로 한글97에서는 확인하실 수 없으십니다.

학습 목표

안전 및 유의 사항

(1) 토목 재료의 종류

(2) 토목 재료의 요건

(3) 재료의 규격

(4) 재료의 일반적 성질

관계 지식

토목재료의_종류와_성질.hwp

'토목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P. (Cast In Concrete Pile)  (0) 2006.06.17
E.P.S 工法 (Expanded Poly Styrene)  (0) 2006.06.15
제경비 산정기준  (0) 2006.01.25
S.C.W 공법 및 적산 요령  (0) 2006.01.25
P.C BOX 암거 조립공정  (0) 2006.01.24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제경비 산정기준

토목관련 / 2006. 1. 25. 01:14

제경비 산정기준

한국토지공사 건설지원처 심사기준팀


Ⅰ. 원가계산에 의한 제경비 산정기준


구 분

적용요율(%)

적용대상공사

산출방법

1. 간접노무비

공사규모별

공사기간별

공종별요율의

산술평균치

모든 건설공사

직노×요율

2. 산재보험료

3.4%

(노동부고시)

총공사금액이 2천만원

이상인 건설공사

노무비×요율

3. 산업안전

보건관리비

공사 종류별

규모별 요율

(노동부고시)

총공사금액이 4천만원

이상인 건설공사

(재료+직노

+지급자재)

×요율

4. 기타경비

공사규모별

공사기간별

공종별요율의

산술평균치

모든 건설공사

(재료+노무비)

×요율

5. 퇴직공제

부금비

공사종류별

[상.하반기요율]

(조달청기준적용)

공사예정금액이 10억원

이상인 건설공사

직노×요율

6. 고용보험료

1등급 : 0.96

2등급 : 0.69

3등급 : 0.48

4등급 : 0.46

모든 건설공사

근로자임금

총액×요율

7. 건강보험료

1.25%

(조달청기준적용)

모든 건설공사

직노×요율

8. 연금보험료

2.41%

(조달청기준적용)

모든 건설공사

직노×요율

9. 일반관리비

공사 종류별

규모별 요율

모든 건설공사

(재료+노무비

+경비)×요율

10. 이 윤

15% 이내

모든 건설공사

(노무비+경비

+일반)×요율

11. 공사손해

보험료

-

대안입찰공사, 일괄입찰공사, PQ대상공사(100억이상)

총공사금액

×요율


1. 간접노무비


○ 적용대상 : 모든 건설공사


○ 산정방법 :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율

간접노무비율 = 공사종류별, 규모별, 기간별 3개 부분의 산술평균치[(A+B+C)/3] 적용


○ 적용근거

1)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준칙 제9조 [회계예규2200.04-105-7(2001.02.10)]

2) 설계(기)7818-210(1998.07.04)「공사원가계산시 제비율 적용기준」


○ 공사종류별, 규모별, 기간별 간접노무비율

구 분

간접노무비율(%)

공 사

종류별

(A)

토목, 건축

13.0

조경

13.7

전기, 통신

8.0

공 사

규모별

(B)

토목, 건축, 조경

5억 미만

11.4

5억 이상 30억 미만

12.2

30억 이상

13.0

전기, 통신

5억 미만

7.5

5억 이상 30억 미만

8.0

30억 이상

8.5

공 사

기간별

(C)

토목, 건축, 조경

12개월(365일) 이하

11.5

12개월(365일) 초과

13.0

전기, 통신

12개월(365일) 이하

7.1

12개월(365일) 초과

8.0

2. 산재보험료


○ 적용대상

1)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에 적용하며

2) 건설공사의 경우 총공사금액(지급자재 포함, 부가세 제외)이 2천만원 이상 공사에 적용


○ 산정방법: (직접노무비 + 간접노무비) × 3.4%


○ 적용근거

1)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조 및 제62조, 동법시행령 제3조

2) 산업재해보상보험요율(노동부고시 제2005-41호, 2005.12.30)

※ 해당년도 고시요율 적용


○ 2006년 산재보험요율

1) 적용기간 : 2006.01.01 - 2006.12.31

2) 보험요율

[단위: 백분율(%)]

사 업 종 류

2006

사 업 종 류

2006

1. 광 업

2. 제조업

3. 전기·가스, 상수도업

4. 건 설 업

5. 운수창고 및 통신업

45.9 7.6

6.5 0.7

1.0

3.4

6.8 0.7

6. 임 업

7. 어 업

8. 농 업

9. 기타의사업

10. 금융 보험업

61.1 3.5

18.5

2.3

9.2 0.5

0.5


3. 산업안전보건관리비


○ 적용대상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조의 규정에 의하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을 받는 공사 중 총공사금액 4천만원 이상인 공사에 적용


○ 산정방법: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지급자재비) × 안전관리비율


○ 적용근거

1)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 동법시행규칙 제32조

2) 건설업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노동부고시 제2002-15호, 2002.07.22 )


○ 공사 종류 및 규모별 안전관리비 계상기준표

대상액

공사종류

5억원 미만

5억원이상 50억원미만

50억원 이상

비율(X)

기초액(C)

일반건설공사(갑)

일반건설공사(을)

중 건 설 공 사

철도?궤도신설공사

특수및기타건설공사

2.48(%)

2.66(%)

3.18(%)

2.33(%)

1.24(%)

1.81(%)

1.95(%)

2.15(%)

1.49(%)

0.91(%)

3,294천원

3,498천원

5,148천원

4,211천원

1,647천원

1.88(%)

2.02(%)

2.26(%)

1.58(%)

0.94(%)

주)?일반건설공사(갑) : 건축물설비공사, 교량건설공사, 도로신설공사, 기타건설공사 등

?일반건설공사(을) : 각종 기계.기구장치를 위한 조립 및 부설공사와 이의 부대 건설공사

?중건설공사 : 댐신설공사, 수력발전시설 설비공사, 터널신설공사 등

?철도.궤도신설공사 : 철도 또는 궤도신설공사, 고가 및 지하철신설공사

?특수 및 기타 건설공사 : 준설공사, 조경공사, 단지조성공사(경지정리공사포함), 포장공사, 전기공사, 정보통신공사

4. 기타경비


○ 적용대상 : 모든 발주공사


○ 산정방법: (재료비+직접노무비+간접노무비) × 기타경비율

기타경비율 = 공사종류별, 규모별, 기간별 3개 부분의 산술평균치{(A+B+C)/3} 적용


○ 적용근거

1)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준칙 제18조 [회계예규2200.04-105-7(2001.02.10)]

2) 설계(기)7818-210(1998.7.4)「공사원가계산시 제비율 적용기준」


○ 공사종류별, 규모별, 기간별 기타경비율

구 분

기타경비율(%)

공 사

종류별

(A)

토목, 건축

6.1

조경

6.0

전기, 통신

2.0

공 사

규모별

(B)

토목, 건축, 조경

5억 미만

4.8

5억 이상 30억 미만

5.1

30억 이상

6.1

전기, 통신

5억 미만

1.9

5억 이상 30억 미만

2.0

30억 이상

2.4

공 사

기간별

(C)

토목, 건축, 조경

12개월(365일) 이하

5.0

12개월(365일) 초과

6.1

전기, 통신

12개월(365일) 이하

1.7

12개월(365일) 초과

2.0


○ 공사원가 계상 기타 경비 종류

1) 근 거: 대한건설협회 발행 「완성공사원가구성분석」

2) 종 류: 수도광열비, 복리후생비, 소모품비 및 사무용품비, 여비.교통비.통신비, 세금과공과, 도서인쇄비, 지급수수료(7개 항목)

주) 공사원가계산서 작성시 건설협회「완성공사원가구성분석」자료를 우리공사 기준 비율로 보정하여 기타경비 산출


5. 퇴직공제부금비

○ 적용대상

: 공사예정 금액(지급자재, 부가세 포함)이 10억원 이상인 건설공사


○ 산정방법 : 직접노무비 × 적용요율

구 분

적 용 요 율

비 고

2005년 상반기

2005년 하반기

2005.03.01

입찰공고분부터

2005.09.01

입찰공고분부터

토 목 공 사

1.47

1.46

- 조달청 기준적용

건 축 공 사

기 타 공 사

1.55

1.54

준 설 공 사

0

0

○ 적용근거

1) 건설산업기본법 제87조, 동법시행령 제83조


○ 공제부금

건설근로자의고용개선등에관한법률 제10조, 시행령 제6조에 공제부금의 금액을1일 1천원 이상 5천원 이하의 범위 안에서 공제회가 노동부장관의 승인을 얻어 정하게되어 있음.


- 1998.1.1 이후적용 공제부금: 2,100원

6. 고용보험료


○ 적용대상 :

- 건설업 면허업체에서 행하는 모든 건설공사

- 건설업 무면허업체에서 행하는 총공사금액 2천만원 이상인 건설공사


○ 산정방법 : 근로자임금총액 × 고용보험요율

.근로자임금총액 = 총공사금액 × 노무비율

.2005년 노무비율(일반건설공사) = 총공사금액의 28%


※고용보험료 산정을 위한 총공사금액에는 고용보험료가 포함되지 않음


○ 적용근거

1) 고용보험법 제7조, 동법시행령 제2조법

2) 기술(심)7818-445(2003.05.26)「고용보험료 산정기준 수립」


○ 고용보험요율

사 업 유 형

보 험 료 율

비 고

실업급여

- 보험요율 : 0.9%

- 사업주부담 : 1/2

- 상용근로자 비율 : 36%

0.9 × 1/2 × 0.36 = 0.16%

고용안정

0.15%

직업능력

개 발

1등급 업체 : 0.65%

2등급 업체 : 0.38%

3등급 업체 : 0.17%

4등급 이하 업체 : 0.15%

합 계

1등급 업체 : 0.16 + 0.15 + 0.65 = 0.96%

2등급 업체 : 0.16 + 0.15 + 0.38 = 0.69%

3등급 업체 : 0.16 + 0.15 + 0.17 = 0.48%

4등급 이하업체 : 0.16 + 0.15 + 0.15 = 0.46%

적용 고용 보험 요율

※ 등급은 우리공사 유자격자 명부기준

7. 국민건강보험료


○ 적용대상 : 모든 발주공사


○ 산정방법 : 직접노무비 × 보험요율


○ 적용근거

1) 국민건강보험법 제6조, 제62조

2)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준칙 제18조(2003.12.26 개정)


○ 국민건강 보험료율

구 분

요 율

비 고

국민건강보험

1.25%

조달청 기준적용


8. 국민연금보험료


○ 적용대상 : 모든 발주공사


○ 산정방법 : 직접노무비 × 보험요율


○ 적용근거

1) 국민연금법 제8조, 제75조

2)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준칙 제18조(2003.12.26 개정)


○ 국민연금 보험료율

구 분

요 율

비 고

국민연금보험

2.41%

조달청 기준적용



※ 발주자는 건설업자의 보험료 납부내역을 확인하여 건설공사의 도급금액 산출내역서에 명시된 금액이 건설업자가 납부한 보험료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하는 금액을 정산하여야 한다.

다만, 계약상대자가 도급금액 산출내역서상의 금액을 초과하여 집행한 경우에는 도급금액을 증액시키지 않는다.

9. 일반관리비

○ 적용대상 : 모든 발주공사


○ 산정방법 :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 일반관리비율


○ 적용근거

1) 원가계산에 의한 예정가격 작성준칙 제19조

[회계예규 2200.04-105-7(2001.02.10)]

2) 설계(기)7818-210(1998.07.04)「공사원가계산시 제비율 적용기준」


○ 공사종류 및 규모별 일반관리비

토목, 건축, 조경

전기, 통신

공 사 원 가

일반관리 비율

공 사 원 가

일반관리 비율

5억원 미만

4.6%

5천만원 미만

6.0%

5억원 - 30억원

4.2%

5천만원 - 3억원

5.5%

30억원 이상

3.8%

3억원 이상

5.0%


10. 이윤


○ 산정방법: (노무비 + 경비 + 일반관리비) × 15%


○ 적용근거

1) 예정가격 작성준칙[회계예규2200.04-105-7(2001.2.10)]

2) 건관(심)7818-290(2002.04.30)「공사원가 계산시 이윤율 적용기준」

11. 공사손해보험료


○ 적용대상 : 대안입찰공사, 일괄입찰공사, PQ대상공사 - PQ대상공사 : 추정가격 100억 이상으로서 다음 22개 공사

1.교량(교각간격 50m 이상 또는 길이 500m 이상)

2.공항 3.댐 4.에너지저장시설 5.간척공사 6.준설공사

7.항만 8.철도 9.지하철 10.터널공사 11.발전소

12.쓰레기소각로 13.폐수처리장 14.하수종말처리장

15.상수도(직경1m 이상,정수장 포함)

16.하수도(단면적 20㎡이상) 17.관람집회시설

18.전시시설 19.공용청사(연면적 20,000㎡ 이상)

20.송전공사 21.변전공사 22.공동주택(16층 이상)

○ 산정방법 : 총공사금액 × 공사손해보험요율

※ 총공사금액 = 총원가에 지급자재비를 합한 금액


○ 산정근거

1) 국가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시행령 제53조, 78조 및시행규칙 제23조제1항,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10조

2) 예정가격 작성준칙(회계예규 2200.04-105-7, 2001.02.10)

3) 공사손해보험가입업무 집행요령(회계예규 2200.04-154, 1998.02.20)

4) 건관(심)7811-968 (2003.12.01)「건설공사손해보험 적용기준」


○ 공사손해보험요율

1) 공사원가계산서 작성시 공사금액, 공사기간, 공사종류, 공사주변 현황자기부담금액(1억)을 명시하여 2개 이상의 손해보험회사에 보험요율에 대해 견적 요청하고

2) 손해보험회사로부터 보험요율을 제공받아 이중 가장 낮은 보험요율에 80%를 적용하여 공사손해 보험료 산정


○ 원가계산서 작성: 이윤 하단, 부가가치세 상단에 명기


12. 정기안전점검비


○ 적용대상

1) 건설기술관리법시행령 제46조의2 제1항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건설공사

2) 건설기술관리법시행령 제46조의2 제1항 제4호에 의거 토지공사에서 자체 기준 수립한 단지조성공사 특수시설물

- 교량(시특법 적용대상 1,2종 시설물의 규모에 해당되지 않은 교량을 말하며 이와 유사한 지상경사로, 에코브리지 등을 포함함)

- 공동구, 연약지반상에 설치하는 배수암거

- 지하차도, 지하보도

- 배수지, 가압펌프장(오수중계펌프장), 배수문, 배수펌프장

- 총공사 금액이 100억원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5,000㎡를 초과하는 건축공사(쓰레기 소각시설 포함)

- 높이 20m 이상의 절토 사면 등 발주자가 안전점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건설공사


○ 산정방법: 점검대상 시설물의 순공사비 × 정기안전점검대가 요율


○ 단지조성공사 특수시설물 정기안전점검 대가 요율

기준시설물의 종류

대가요율(%)

비 고

교 량

30m 미만

30m

50m

100m이상

RC BOX형

1.07

0.79 ~ 1.07

0.68 ~ 0.92

0.40 ~ 0.55

0.34 ~ 0.46

시설물

개소수를

고려한

보정 실시

공동구 연약지반 암거

-

0.34 ~ 0.46

지하차도 지하보도

-

0.20 ~ 0.26

배수문

-

2.30 ~ 3.50

배수펌프장

-

0.33 ~ 0.44

배수지 가압펌프장

(오수중계펌프장)

-

0.33 ~ 0.44

건축물

(쓰레기 소각시설포함)

5,000 ㎡

10,000 ㎡

30,000 ㎡

0.33 ~ 0.44

0.20 ~ 0.28

0.10 ~ 0.13

주) 명시되지 않은 규모의 시설물(교량, 건축물)에 대한 대가요율은 기준시설물에 대한 대가요율에서 보간법에 의해 산출한다.


○ 시설물 개소수를 고려한 보정 계수

개 소 수

보정 계수

비 고

1 ~ 2개소

3 ~ 4개소

5 ~ 6개소

7 ~ 8개소

9개소 이상

1.00

0.90

0.80

0.70

0.65


○ 적용근거

1) 건설기술관리법제26조의2, 시행령 제46조의2, 제46조의4

2) 건설공사 안점점검 대가 산정 기준 (건교부고시 제2001-273호, 2001,10.15)

3) 기술(품)7335-1115(2001.12.26)「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 수행기준」


○ 원가계산서 작성 : 이윤 다음에 명기

□ 용역손해보험(공제)료


○ 적용대상

국가,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등 발주청이 시행하는 시설공사의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 건설사업관리 용역, 감리 용역에 적용

1) 대상공사: 토목공사, 건축공사, 산업설비공사, 조경공사, 환경시설공사 등

2) 대상용역: 기본 및 실시설계, 건설사업관리, 감리(검측 .시공. 책임)

○ 산정방법: 순용역비용 × 적용요율

※ 순용역비용 = 부가세와 보험(공제)료를 제외한 금액


○ 산정근거

1) 건설기술관리법 제21조 제4항

2) 건설기술관리법시행령 제37조의3, 제39조의5, 제54조의10

3) 설계.감리 등 용역손해배상보험 또는 공제 업무 요령 (건교부고시 제2001-328호, 2001.12)

4) 건관(심)7818-446(2003.5.26) 「건설기술용역에 대한 손해배상 보험(공제)료 적용기준」


○ 용역손해보험(공제)요율

1) 엔지니어링기술진흥법에 의해 설립된 엔지니어링 공제조합 요율을 적용(공사를 22개 공종으로 구분하여 각 공종별로 대표공사, 추가대표공사, 기타시설공사로 세분하여 적용)

2) 단지조성공사는 관람집회시설공사 요율을 적용

3) 기타 특수 공사는 해당공사의 요율을 적용

○ 용역대가 작성: 부가가치세 상단에 명기


Ⅱ. 실적공사비에 의한 제경비 산정기준

□ 직접공사비

: 재료비, 노무비,경비를 구분하지 않은 공종별 단가의 합계 (원가계산방식의 순공사비)


□ 간접공사비

- 간접노무비 :〔직접공사비 × 조정계수(직노)〕× 요율

- 산재보험료 :〔직접공사비 × 조정계수(노)〕× 요율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직접공사비 × 조정계수(재+직노)+지급자재〕× 요율

- 기타경비 :〔직접공사비 × 조정계수(재+노)〕× 요율

- 퇴직공제부금 :〔직접공사비 × 조정계수(직노)〕× 요율

- 고용보험료 :〔총공사금액〕× 노무비율 × 요율 (노무비율은 원가계산방식 적용)

- 국민건강보험료 :〔직접공사비 × 조정계수(직노)〕× 요율

- 국민연금보험료 :〔직접공사비 × 조정계수(직노)〕× 요율


□ 일반관리비 : [직접공사비 + 간접공사비] × 요율


□ 이 윤 : [직접공사비 + 간접공사비 + 일반관리비] × 10%이내


□ 정기안전점검비 : [점검대상 시설물의 직접공사비] × 요율


□ 공사손해보험료 : [총공사금액(지급자재비 포함)] × 요율


□ 적용기준일 : 2005.05.20 이후 발주 토목공사



[붙임 1] 실적공사비 적용 요율

○ 원가계산방식 적용

- 간접노무비

- 산재보험료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 기타경비

- 퇴직공제부급비

- 고용보험료

- 국민건강보험료

- 국민연금보험료

- 일반관리비

- 정기안전점검비

- 공사손해보험료


○ 실적공사비에 의한 예정가격작성기준 적용

- 이윤 (10% 이내)

※ 간접노무비 산정예


- 조 건 : 토목공사, 직접공사비 80억, 공사기간 30개월

- 간접노무비 = 직접공사비×조정계수(직노)×요율 = 8,000,000,000 × 0.371 × 13% = 385,840,000

[붙임 2] 실적공사비 제경비 조정계수

구 분

토 목

직노

재+직노

재+노

5억미만

6개월이하

0.453

0.413

0.479

0.866

0.932

6~12개월

0.450

0.411

0.476

0.861

0.926

13개월이상

0.466

0.393

0.458

0.859

0.924

5~30억

6개월이하

0.459

0.411

0.474

0.870

0.933

6~12개월

0.456

0.408

0.471

0.864

0.927

13개월이상

0.472

0.391

0.453

0.863

0.925

30~50억

6개월이하

0.466

0.402

0.464

0.868

0.930

6~12개월

0.464

0.400

0.461

0.864

0.925

13개월이상

0.479

0.382

0.443

0.861

0.922

50억이상

6개월이하

0.484

0.391

0.450

0.875

0.934

6~12개월

0.482

0.388

0.447

0.870

0.929

13개월이상

0.497

0.371

0.429

0.868

0.926

※ 재 : [재료비] ÷ 직접공사비

직노 : [직접노무비] ÷ 직접공사비

노 : [노무비] ÷ 직접공사비

재+직노 : [재료비+직접노무비] ÷ 직접공사비

재+노 : [재료비+노무비] ÷ 직접공사비

'토목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S 工法 (Expanded Poly Styrene)  (0) 2006.06.15
토목 재료의 종류와 성질  (0) 2006.03.28
S.C.W 공법 및 적산 요령  (0) 2006.01.25
P.C BOX 암거 조립공정  (0) 2006.01.24
도형의 체적 계산식 예시  (0) 2006.01.24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S.C.W 공법 및 적산 요령

(Soil Cement Wall)

特殊建設工業(株)
技術部長 梁 亨 圭

1. 머리말

    최근의 지반 개량 공법의 다양화로 심층 혼합처리 공법이 개발되어 왔다. 혼합처리 공법을 분류하면 연약한 지반의 밀도를 높이는 방법과 Cement나 석탄등의 고화재에 의한 혼합처리로 고결하는 방법등이 있다.

    흙과 cement를 攪泮하여 고결체를 축조하는 soil cement 공법은 여러 가지의 이용형태가 있으나 본지에서는 토류벽으로 이용하는 S.C.W 공법의 적산에 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2. S.C.W 공법의 개요

    SOIL CEMENT 공법의 명칭은 시공회사에 따라 ALPHABET으로 표기하는 방법이 다르나 S.C.W란 현위치의 토사(S:SOIL)를 골재로 시멘트를 혼합하여 지중에 현장조성된 벽체(W:WALL)의 약칭이다.

    S.C.W 진용으로 개발된 특수 多軸混練 AUGER로 土中을 削孔할때에 오-거 선단으로부터 CEMENT MILK BENTONITE 액 등의 혼합액을 토출시켜 굴삭토사와 혼합시켜 1ELEMENT의 壁狀을 시공하고 계속해서 겹치게 (LAB)시공하여 일체적인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3. S.C.W공법의 특징

    1) 지수성이 높다.

    현장조성 SOIL CEMENT 벽 1 ELEMENT를 시공하고 다음 ELEMENT를 시공할 때, 前시공 벽부와 겹치게 시공하므로 ELEMENT間이 연속적으로 일체가 되어 접속부의 지수성이 양호하게 된다.

    2) 점성토 일지라도 양질의 벽체가 조성된다.

    S.C.W 진용기의 3축이 攪拌翼이 상호 겹쳐서 혼합 조성 기구로 되어 있으므로 점성토를 수평으로 절단혼합하여 비교적 양질의 벽체를 조성할 수 있다.

    3) 공기단축과 가격저렴

    현위치 토사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시공 속도가 빨라 工期는 타공법에 비교하여 짧고 치환방법에 비교하여 발생하는 諸材의 처리가 적으므로 가격에 저렴하다.

    4) 다목적 이용이 가능하다.

    S.C.W는 그 자체로서 지수목적의 연속벽을 구성하지만 벽중에 삽입하는 재료에 의하여 다목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5) 수직정도가 높다.

    S.C.W기는 3축이 서로 간접하는 장치에 의해 일체와 되어있고 剛性이 크며 3축 AUGER간에 끼이는 장해물은 상호 역회전 하므로 밀어내기나 SOIL CEMENT MILK중에 부유하기 때문에 수직 정도가 높다.

    6) 소음과 진동이 적다.

    충격음이나 굴삭시 진동등의 발생원인이 없어 저소음 저진동으로 시공할 수 있다.

4. S.C.W기의 제원



    관련그림 보기


    측면치수(축심부터의 치수)

    기 종

    회전반경(A)

    라이너(B)

    평형추(C)

    508

    5,480mm

    3,830mm

    4.315mm

    408

    4.870

    3,500

    4.025

    308

    4,650

    3,000

    4,025


    정면치수(전폭치수)

    기 종

    舷外재(D)

    작업시(E)

    운반시(F)

    508

    5,460mm

    4,340mm

    3,300

    408

    5,265

    4,000

    3,300

    308

    5,265

    4,000

    3,200

5. 시공순서 및 표준단면

6. 적산

    1) 시공능력

    Q : 1일당 시공량 (M2/일)

    q : 1시간당 시공량 (M2/hr)

    B : 1공당 유효폭0.9(M)

    L : 심도(M)

    t1 : 장비이동 및 기치 15분/회

    t2 : 공당 천공시간(분)

    t3 : 교반 및 오-거 스크류 인발시간(1.2×L)

    t4 : 선단고화처리시간(Slime 제기 3분/회)

    E : 작업효율 0.7±0.05(양호+0.05불량-0.05)

    2) 공당 천공시간 t2 (분/공)


    Hi : 지층별 천공시간

    Bi : N 치에 따른 지층 두께

    αi : 심도계수

    지층별 천공시간(Hi)

    N 치
    N<15
    15≤ N<30
    30≤N<50
    N≥50
    N>50토괴, 사력
    Hi
    1
    1.3
    1.7
    2
    5.7

    점토계수(αi)

    천공심도
    L<18m
    18≤L<28
    1≥28
    αi
    1
    1.2
    1.4

    3) 장비조합

    No.

    기 종

    규 격

    대 수

    비 고

    1
    2
    3
    4
    5
    6
    7
    8
    9
    10
    Pile Driver
    발 전 기
    Mixer Plant
    Grout Pump
    발 전 기
    공 기 압 축 기
    백 호 우
    양 수 기
    크 레 인
    벨 트 콘 베 이 어
    100 P 80 C
    350Kw
    PM - 1200
    50~200ℓ/min
    125Kw
    365CFM
    0.4㎥
    100m/m
    25Ton
    1
    1
    1
    2
    1
    1
    1
    1
    1
    3~6
    굴삭 및 교반
    Pile Driver 구동용
    몰탈생산
    몰탈주입
    Mixer Plant 구동용
    굴삭 및 교반
    잔토처리
    용수
    Service Crane
    포장시멘트 운반

    4) 인원배치 ( )은 시멘트 BULK사용시

    구 분

    반 장

    보 링 공

    특별인부

    보통인부

    인 원

    1

    2

    2

    8(3)

    13(8)

    5) 표준배합비

    토 질

    배 합

    압축강도

    시멘트

    베토나이트

    점 성 토
    사 질 토
    사 력
    400㎏
    350
    350
    10 ㎏
    20
    20
    550 ℓ
    550
    550
    1~20㎏/㎠
    20~80
    60~120

    6) 잔토발생 : 조성벽체 체적의 약 30~50% 발생

    7) 장비의 손율

    종 류

    내용

    시간

    년간표준

    가동시간

    상각

    비율

    정비

    비율

    관리

    비율

    시 간 당(10-7 )

    상각비

    계수

    정비비

    계수

    관리비

    계수

    PILE
    DRIVER

    교 반 익

    5250

    525

    1050

    1050

    0.9

    0.9

    0.6

    0.15

    0.07

    0.07

    1714

    14142

    1142

    2857

    426

    966

    3282

    20965

    ·본체: 100TON 무한궤도 크레인 적용

    ·MIXER PLANT: CONCRETE BATCHER PLANT 적용

    8) 장비조립 및 해체

    종 류

    노 무 비

    사 용 장 비 (일)

    분 해

    조 립



    규격

    소요일수

    기계
    특별
    인부
    비계
    비계
    기계
    특별
    인부
    보통
    인부
    비계
    분해
    조립
    파일
    드라이버

    7.25

    6.75

    3.25

    3.25

    9.63

    8.63

    4.38

    4.38





    25TON

    1

    1

    믹서
    플랜트

    -

    2.38

    1.25

    1.25

    -

    3.13

    1.63

    1.63





    25TON

    1

    1

7. 적산 예

    <평면도>

    1) 수량산출

    ① 공삭공

    (13.5+9)×2=45.0m

    ② S.C.W 토류벽

    45.0×15.0=675㎡

    ③ 파일 드라이버 조립 및 해체 1식

    ④ 플랜트 설치 1식

    ※ 시멘트 계산

    675×0.55×350×1/40=3.248포

    ※ 응력재인 파일 건입 및 장비운반비는 별도

    2) 장비손료 및 단가산출

    ① 장비손료

    장 비 명

    규 격

    손 료

    재료비

    (운전경비)

    노 무 비

    S.C.W 본체
    파일드라이버
    교 반 익
    믹서플랜트
    발 전 기
    발 전 기
    공기압축기
    크 레 인
    그라우팅펌프
    백 호 우
    양 수 기
    110P80C

    Φ= 550X
    P.M-1,200
    350Kw
    125Kw
    365CFM
    25TON
    500-200ℓ/min
    0.4㎡
    100mm
    57,121
    36,651
    178,334
    15,516
    32,770
    13,061
    9,591
    25,202
    1,901
    15,780
    19
    44,844
    36,651
    178,334
    5,627
    13,899
    3,782
    3,477
    16,196
    1,901
    8,549
    19
    5,451
    -
    -
    -
    15,043
    5,451
    2,568
    2,180
    -
    1,663
    -
    6,826
    -
    -
    9,889
    3,828
    3,828
    3,546
    6,826
    -
    5,568
    -

    o 본체(110P 80c)

    1) 손료

    331,702 × 719.5 × 1,879 × 10-7 = 44,844/Hr

    2) 재료비

    경유 29.5×154= 4,543

    잡유 (20%)=908

    소계 =5,451

    3) 노무비

    조종원 1×1/8×15×12×25/25×22,700=3,546

    조 수 1×1/8×15/12×25/25×16,100=2.515

    중기조장 0.2×1/8/15/12×25/25×24,500=765

    소 계 6.826\/Hr

    계 57,121\/Hr

    o 파일 드라이버

    1) 손료

    155,212×719.5×3,282×10-7=36,651\/Hr

    o 교반익

    1) 손료

    118,225×719.5×20,965×10-7=178,334\/Hr

    계 178,334\/Hr

    o mixer plant(p.m 1,200)

    1) 손료

    21,372,000×2,633×10-7=13,899\/Hr

    2) 재료비

    경 유 81.4×154=12,536

    잡 유 (20%)=2,507

    소계 15,043\/Hr

    3) 노무비

    조종원 1×1/8×15/12×25/25×24,500=3,828

    계 32,770\/Hr

    o 발전기(125Kw)

    1) 손료

    18,381 x 719.5 x 2,860 x 10-7 = 3,782\/Hr

    2)재료비

    경유 29.5 x 154 = 4,543

    잡유 (20%) = 908

    소계 = 5,451\/Hr

    3)노무비

    조조원 1 x 1/8 x 5/12 x 25/25 x 24,500 = 3,828

    계 13,061\/Hr

    o 공기 압축기(365CFM)

    1)손료

    23,842 x 719.5 x 2,027 x 10-7 = 3,477\/Hr

    2)재료비

    경유 13.9ℓx 154 = 2,140

    잡유 (20%) = 428

    소계 2,568\/Hr

    3 )노무비

    조종원 1X1/8X15/12X25 X22,700=3,546

    계 9,591 ?

    o 양수기 (100m/m)

    1) 손료

    57.000X3,375X10-7=19\/Hr2) 단가산출근거

    · 1일 실작업 시간 7Hr

    · 시간당 작업량

    1일 실작업시간이 7Hr이므로

    11.12 X7= 9.73㎡Hr
    8

    L : 심도 (15m)

    t1 :장비이동거치(15분)

    t2 :천공시간(1분/m)

    t2:1SHiBi1i =1X15X=15분

    t3 :교반 및 오-거 스크류 인발 (1.2분/m)

    t3=1.2X15X1=18분

    t4 :선단 slime 제기 3분

    E : 작업효율(0.7)

    <일위대가표>

    1. 공식공
    2. 철골가공조립(50ton 이하 단순)
    3. S.C.W 토류벽(Bulk cement 사용기준) (m2당)
    4. 파일드라이버 조립 및 해체
    5. 플랜트설치 및 해체

    <예산내역서>


'토목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 재료의 종류와 성질  (0) 2006.03.28
제경비 산정기준  (0) 2006.01.25
P.C BOX 암거 조립공정  (0) 2006.01.24
도형의 체적 계산식 예시  (0) 2006.01.24
토량환수계수적용방법  (1) 2006.01.24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P.C BOX 암거 조립공정

































P.C BOX 암거 시공순서











'토목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 재료의 종류와 성질  (0) 2006.03.28
제경비 산정기준  (0) 2006.01.25
S.C.W 공법 및 적산 요령  (0) 2006.01.25
도형의 체적 계산식 예시  (0) 2006.01.24
토량환수계수적용방법  (1) 2006.01.24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