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有意事必成 where there,s a will there,s a way 뜻을 품고 있으면 이룰수있다 010-7641-1981 평강이와유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475)
Buddhism 佛敎 (146)
꿈 소망 사랑 희망 놀이터 (0)
문화공동체 유자의세움 (0)
-------------------- (0)
평강이 (169)
좋은 글귀 (588)
고사성어 이야기 (165)
시행관련 (198)
사업계획서 (34)
컴 배우기 (180)
참고사항 (191)
맛집알고 여행하기 (164)
문서 서식 (74)
임시보관함 (103)
기본카테고리 (176)
가요방 (146)
팝송방 (261)
옛 노래 (153)
뮤직비디오 (190)
보민앨범 (0)
아하 그렇구나 (334)
건축관련 (101)
토목관련 (70)
새로운 카테고리 (122)
물리와화학 (55)
자갈치알리미 (76)
인생이란 (82)
장기표의 시사논평 (371)
한번 배워볼까요 (110)
스크랩 (215)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눈물 젖은 글

좋은 글귀 / 2011. 11. 22. 10:14
눈물 젖은 글

자정을 30분이나 넘긴 지금, 일터에서 돌아오자마자 입었던 옷가지를 세탁기에 돌려 널고 물 한 잔 마실 새도 없이 컴퓨터 앞에 앉았습니다. 지금부터 글을 써야 하지만 밥 먹을 틈도 없이 온종일 ‘뺑이’를 친 후라 실상은 아무 생각도 나지 않습니다. 일하며 배우는 야간학교 학생들도 이 시각이면 수업이 끝날 터이니 그네들에 비해도 저의 처지는 별반 나을 게 없는 것 같습니다. 그나마 수동적인 수업과 달리 아무리 피곤해도 글 쓰며 졸 수는 없는 일이니 흘러내리는 눈꺼풀을 이쑤씨개로 받칠 필요는 없다는 게 다행이라면 다행입니다.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더니 오너는 집에서도 쉬지 못하는 법이라 남편이 자영업을 시작한 이후 아침부터 자정 무렵까지 가게에 있는 시간 말고도 머릿속은 온통 일로 채워져 있습니다. 통으로 하루를 비워 글을 쓴다거나 글 쓰는 것과 관련된 일을 하던 때와는 상황이 사뭇 달라진 요즘, 녹록찮은 현실에 이대로 녹아버린다면 그나마 짧은 글쓰기마저 포기하게 될지 모른다는 위기감을 종종 느낍니다.

하지만 아침에 눈 떠서 밤에 잠자리에 들 때까지 일에 치여 부단히 지치고 조금치도 여유가 없는 사람이 어디 저 하나 뿐이겠습니까. 남들은 진즉부터 그렇게 살고 있었는데 이제 막 그 대열에 합류해 놓곤 혼자 죽는소리 한다고 흉 들을까 부끄럽지만, 저로서는 삶이라는 거대한 물살에 휩쓸려 그대로 떠내려 갈 것이냐, 아니면 미미하기 짝이 없다 해도 거부와 저항의 몸짓을 지속할 것이냐의 ‘실존적 갈등 상황’에 놓여 있다고 아니할 수 없습니다.

글쓰기나 다른 창의적, 예술적 작업을 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 말고 일반 생업 수단을 가진 사람이 순간을 여투고 티끌을 모아 자신의 세계를 오롯이한다는 것이 얼마나 고귀하고 숭고하기조차 한 건지 예전엔 미처 몰랐다고 할까요, 일상에 찌든 생활인이라는 상투적 외피를 벗은 후에도 참 자기라 할 수 있는 옹골진 내면을 가진 사람, 그 사람을 당신은 가졌냐고, 아니 앞으로 가질 수 있겠냐고 스스로에게 묻게 되는 것입니다.

오래 전 돌아가신 친구의 아버지는 기업의 중역으로 계시면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직장 후배들을 위한 따뜻한 조언과 지혜를 담은 책 한 권을 남겼습니다. 50세가 채 안 돼서 돌아가신 분이니 지금 돌이켜보면 일에 파묻혀 지내야 했었을 중년에 어떻게 시간을 내어 틈틈이 글을 쓸 수 있었는지 그분의 치열한 자기관리와 단촐, 정결했을 내면 세계가 존경스럽기만 합니다.

지인 중에는 재즈 음악 분야에 남다른 열정을 가진 음악가이자 독서광으로 ‘직장인 아무개’ 말고도 자기를 표현하고 드러낼 수 있는 자신만의 영역을 꾸준히 가꾸어 온 분도 있습니다.

회사의 중간 간부로 일하는 40대 호주 남성 하나는 아마추어 도자기 공예가로서 10년 남짓 제작한 작품이 2백여 점에 이른다고 합니다. 그 사람의 경우는 직장 생활과 궤를 같이하는 평생 취미를 개발한 셈인데, 퇴근 후 하루 두세 시간을 꾸준히 투자한 결과였다고 합니다.

병원의 간호사로 일하면서 뒤늦게 화가의 꿈을 이룬 후 호주 화단의 주목을 받고 있는 분, 배관업을 하며 밤마다 시를 써서 최근에 두 번째 시집을 낸 친구의 남편, 은퇴 후 문인으로 인생 후반을 경작하는 이모작 인생, 치과 의사이면서 글쓰기에 남다른 열정을 가진 제 조카 등 손꼽아 보니 제 주변에도 그런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잠 안 자고 글을 쓴다 한들 무에 대수랴, 젊지도 않은 나이에 공연히 몸만 축나지 하는 생각도 안 하는 건 아니지만, 시간이 손가락 사이의 모래알처럼 빠져나가는 것을 더욱이나 실감하게 되는 요즘, 이대로 상황에 마냥 끌려다닐 수만은 없다는 결연한 다짐을 해봅니다. ‘눈물 젖은 빵’을 먹어본 자, 인생의 참 의미를 알지니 ‘눈물 젖은 글’을 쓰는 자, 깊은 정신적 성숙과 영혼의 섬세한 울림에 다다르길 소망하면서…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