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有意事必成 where there,s a will there,s a way 뜻을 품고 있으면 이룰수있다 010-7641-1981 평강이와유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475)
Buddhism 佛敎 (146)
꿈 소망 사랑 희망 놀이터 (0)
문화공동체 유자의세움 (0)
-------------------- (0)
평강이 (169)
좋은 글귀 (588)
고사성어 이야기 (165)
시행관련 (198)
사업계획서 (34)
컴 배우기 (180)
참고사항 (191)
맛집알고 여행하기 (164)
문서 서식 (74)
임시보관함 (103)
기본카테고리 (176)
가요방 (146)
팝송방 (261)
옛 노래 (153)
뮤직비디오 (190)
보민앨범 (0)
아하 그렇구나 (334)
건축관련 (101)
토목관련 (70)
새로운 카테고리 (122)
물리와화학 (55)
자갈치알리미 (76)
인생이란 (82)
장기표의 시사논평 (371)
한번 배워볼까요 (110)
스크랩 (215)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오고가고...

좋은 글귀 / 2008. 6. 4. 21:40

      인연생기(因緣生起) 나무들이 있으면우리는 불[火]를 얻을 수 있습니다.나무와 나무[직접원인:因]를인위적으로 마찰함[간접원인:緣]으로써우리는 불[火}를 얻을 수[因緣生起] 있습니다.또한 시간이 지나서나무가 모두 타게 되면인(因)과 연(緣)이 소멸하였기에불[火]은 자연히 스스로 꺼지게 마련입니다.세상만사(世上萬事)가 이와같이 한치도 어긋남이 없이인연생기(因緣生起)하여인연소멸(因緣消滅)하는 것일 뿐입니다.여기에 무슨 나[아상(我相)]가 있고분별(分別)이 있으며, 집착(執着)이 있겠습니까?아옹다옹 애태울 일이 있겠습니까.세상사(世上事)의 오고감에분별(分別)과 집착(執着)을 놓아버리고,주어지면 주어지는 대로 최선을 다하고,가면 가는 대로 고이 보내드리면되는 것 같습니다.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당신 인상이 정말 좋으시네요 이런 말을 들으면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인상은 항상 웃음을 잃지 않고예쁜생각 많이 하는 마음에서어둡던 인상도 밝은 표정으로변할거라고 생각합니다.표정은 마음을 보여주는 거울이라 합니다.내 표정은 내 마음을 그대로 보여줍니다.행복한 표정 우울한 표정 불안한 표정수천 가지나 되는 표정은 곧 내 마음입니다.그래서 연륜으로 세상을 말씀하시는 분들은얼굴만으로도 대강 그 사람의 속내를알 수 있다고들 하십니다.표정은 세련된 화장으로도멋진 옷으로도 바꿀 수 없겠지요?오늘 거울 앞에 앉아 제 마음을 비쳐봅니다.제 마음에 따라 움직인 표정을 보니부끄럽기만 합니다.화난 마음을 달래기 위해 활짝 웃어 보았습니다...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잠들기 전에 염불은 더욱 중요합니다 우리는 육신을 나로 알고 세상살이를 합니다. 그러므로 태어난 날이 있고 그것은 필연적으로 죽는 날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 금생만 이세상에 태어나 사는 것이 아니라 금생 이전에도 한량없는 세월동안 나고 죽는 것이 반복된 즉, 윤회의 삶을 이어왔습니다. 윤회속에 산다고 하는 것은 몸뚱이로 내가 산다고 할 때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마침내 죽게 되는 과정이 반복됨을 말합니다. 몸을 기준으로 살아갈 경우 죽음을 맞이하는 것은 마음의 괴로움이 한없이 크고 슬프지만 죽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우리 인생이라면 비극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중생이 나서 죽을 때 흘리는 슬픔의 눈물이 태평양과 같은 바다의 물보다 많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불법을 모르는 중생의 삶은 슬픔의 눈물을 흘리는 죽음을 맞이 하고 몸을 갖고 윤회하는 어리석은 삶을 반복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혹시 금생에 선근을 부지런히 쌓아서 내생에 지금보다 더 나은 삶으로 태어난다 하더라도 윤회를 피하지는 못하게 됩니다. 내생을 결정하는 것은 업입니다. 그 업은 몸과 말과 생각으로 짓는 행위를 말하며 그 결과인 업은 나에게 돌려지는 것입니다. 3업 중에서 말과 몸으로 짓는 업은 남에게 그 행위를 감출 수 있다하더라도 마음(생각)으로 짓는 업은 남이 심판하지 못하므로 스스로 하게 되는 것입니다. 마음이 밝은 사람은 내가 죄를 많이 지었음을 알게 되지만 마음이 어두운 사람은 자기 죄를 모르고 죄가 없다고 하고 그렇기 때문에 그 죄에 찌들려 살게 됩니다. 뿐만아니라 몸과 말과 생각으로 지은 죄로 지옥이 결정되었음을 부정하는 사람은 세상을 어둡게 보고 자기 생명의 본질을 모르는 삶을 살게 됩니다. 그러나 참생명에는 나고 죽음이 없는 영원, 절대생명이므로 몸과 상관없이 자기가 지은 업에 의해 괴로움의 지옥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이렇게 지옥이 결정되었다고 할 때 아무렇게나 기분에 이끌려 제멋대로 살 수 있겠습니까? 죽음은 예고가 없이 어느 순간에 별안간 찾아 옵니다. 지금 죽음이 찾아 왔을 때 흔들림 없이 불안하지도 않겠는지 스스로 질문해 봅시다. 모든 종교생활은 죽음을 준비하는 정신행위 입니다. 죽음이 온 순간 어둡고 불안하고 흔들리지 않고 슬프지 않을 수 있습니까? 종교가 죽음을 준비하고 해결 한다는 것은 생사해결을 위해 어둠의 삶을 청산하고 본래의 참생명으로 찾아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교는 지위나, 돈, 명예와 관계없으며 복을 구하는 것과도 전혀 무관합니다. 오늘 법회와 같은 종교집회는 불생불멸하는 참생명을 확인하고 나의 참생명 자리를 찾아가기 위해 부처님 앞에 나선 것입니다. 부처님의 큰 덕과 은혜는 몸과 관계없이 참생명을 찾는 지혜를 주시기 때문 입니다. 그러므로 종교는 지혜(진리를 아는 능력) 입니다. 몸을 구속하는 환경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마하반야로 일컬어지는 지혜에 의해 가능합니다. 그리고 그 지혜광명은 온천지에 가득한 부처님의 가르침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입니다. 내생명이 참생명임을 새삼 알게 되면 주변 환경에 개의치 않고 지금의 자기를 무한한 영광으로 알고 살 수 있습니다. 지옥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생명의 원리에 어긋나게 살면 그 곳이 지옥이고 생명의 원리에 맞추면 그 곳이 바로 극락인 것입니다. 보왕삼매론에서도 외부환경에 의해 나의 참가치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생사윤회에서 벗어나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것이 참생명으로 가는 길임을 일어주고 있습니다. 참생명으로 돌아가는 것을 "아미타"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영원 절대생명인 아미타의 세계로 가는 공부를 충실히 해야할 필요가 여기에 있으며 그것은 "염불일법"임을 알고 실천해야 합니다. 즉 염불을 통하여 생사윤회를 해탈해야 하는 것입니다. 증일아함경에서는 "모든 비구들에게 마땅히 한 법을 수행하고 널리 펴고 한 법을 수행하면 명예와 큰 과보와 선에 이르며 무위처에 이르며 사문과를 얻으며 열반에 이른다, 그 한 법은 염불이 그것이다." "이 염불은 거닐 때,머무를 때, 앉을 때, 누을 때,를 가리지 않고 언제나 닦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종교가 죽음을 준비하는 것이라면 육신의 기능이 정지되는 죽음이 이르렀을 때 육신이 죽는 것에 끄달리지 않고 생사를 해탈하는 것이 죽음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입니다. 밤에 잠들 때 순간적으로 정신없이 잠에 떨어지는데 죽음도 이와 같습니다. 정신없이 잠에 떨어지지 않도록 잠들기 전에 염불하면서 정신을 놓지 않는 연습을 끊임없이 하면 죽음이 올 때도 죽음에 빠져들지 않고 염불을 하므로써 윤회의 바퀴에서 벗어나 극락정토에 들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언제 어디서나 염불을 하고 특히 잠들기 전에 염불은 더욱 중요합니다. 염불을 통해서 괴로움, 근심.걱정, 다툼과 답답함을 버리고 나무아미타불로 무한가치의 실현을 일러 주심에 믿고 실천해야 합니다. 죽음의 단말마적 고통속에서도 나무아미타불 할 수 있도록 연습을 부지런히 하면 죽음도 나를 괴롭히지 못합니다. 몸이 죽는 것 때문에 윤회한다면 생사해탈의 길은 나무아미타불을 염하는 것이며 그럴 때 아미타 부처님은 죽음의 길목에서 우리를 영접하여 서방정토에 왕생케 해주십니다. 세상을 사는데 근심과 다툼과 미움과 성냄을 버리고 영원한 평안을 얻으며 몸뚱이로 구속되는 삶을 살지 않는 세계에 들어가는 길은 염불로 실천하는 길입니다. 그렇게 되면 헛된 욕심을 버리게 되며 미움이 있을 수 없으므로 탐,진,치가 스스로 없어지게 됩니다. 부처님이 내생명 밖에 따로 계시지 않음을 분명히 아셔야 합니다. 내 밖에 따로 있다거나 내 밖으로 찾아나서는 것은 "외도"라고 했습니다. 불교는 우리의 참생명 모두가 부처생명이며 나무는 그 참생명인 부처생명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나무아미타불 하여 내가 부처되는 길을 찾고 그래서 스스로를 구원하는 것이 됩니다. 관무량수경에서도 후세 말세에 어떤 중생이 나무아미타불하면 그의 가장 친한 벗이 되겠노라고 관세음보살이 말씀하셨다고 이르고 있습니다. 나무아미타불 여섯 글자는 부처님의 무량하신 공덕과 원력이 잘 갈무리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나무아미타불 하는 것은 부처님의 원력으로 내 참생명으로 돌아 감을 말하며 나무아미타불로 일체 모든 번뇌, 근심.걱정, 어리석음, 성냄, 다툼을 버리고 가장 수승한 덕에 이르게 하는 것입니다. 이세상은 본래 한 생명인 아미타 부처님생명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나무아미타불로 내가 바뀌어야 합니다. 불법을 배우는 것은 나를 배우는 것이요. 나를 배우는 것은 중생인 나를 부정하고 나의 참생명인 부처님 생명을 찾는 길입니다. 이세계는 나와 대립된 생명이 없고 본래가 한생명인 까닭에 끊임없이 주는 마음으로 살도록 나를 바꾸어 가야 합니다. 내가 바뀌면 내 가정과, 내 이웃과, 이 세상과 온 천지가 바뀌게 됩니다. 부디 나무아미타불로 나의 참생명인 부처님생명을 찾아 생사해탈을 하는 불자가 되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때때로 자신의 과거 때문에
자신의 현재까지 미워하는 사람을 보게 됩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되돌릴 수 없는
이미 흘러간 시간을
가장 아쉬워하고 연연해 하는 반면
가장 뜻깊고,
가장 중요한 지금이라는 시간을
소홀히 하기 쉽습니다.

과거는 아무리 좋은 것이라 해도
다시 돌아오는 법이 없는
이미 흘러간 물과도 같을뿐더러
그것이 아무리 최악의 것이었다 해도
지금의 자신을 어쩌지는 못합니다.

우리가 관심을 집중시켜야 할 것은
지나온 시간이
얼마나 훌륭했는가 하는 것이 아니라
남겨진 시간을 어떤 마음가짐으로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입니다.

자신이 그토록 바라고 소망하는 미래는
자신의 과거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재에 의해 좌지우지된다는 사실.
기억하십시오.

우리 인생의 목표는
"지금까지"가 아니라 "지금부터"입니다.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