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有意事必成 where there,s a will there,s a way 뜻을 품고 있으면 이룰수있다 010-7641-1981 평강이와유자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4475)
Buddhism 佛敎 (146)
꿈 소망 사랑 희망 놀이터 (0)
문화공동체 유자의세움 (0)
-------------------- (0)
평강이 (169)
좋은 글귀 (588)
고사성어 이야기 (165)
시행관련 (198)
사업계획서 (34)
컴 배우기 (180)
참고사항 (191)
맛집알고 여행하기 (164)
문서 서식 (74)
임시보관함 (103)
기본카테고리 (176)
가요방 (146)
팝송방 (261)
옛 노래 (153)
뮤직비디오 (190)
보민앨범 (0)
아하 그렇구나 (334)
건축관련 (101)
토목관련 (70)
새로운 카테고리 (122)
물리와화학 (55)
자갈치알리미 (76)
인생이란 (82)
장기표의 시사논평 (371)
한번 배워볼까요 (110)
스크랩 (215)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좋아하는 게 아니라 잘하는 것을 하라.




여러분이 좋아하는 것에 치중하지 않기를 바란다.
다시 말하지만 좋아하는 것과 잘 할 수 있는 것은 다르다.

내가 알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일과 조화시키기 위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는데 시간과 정력을 낭비한다.


그들은 좋아하는 것을 찾아내기만 하면 돈이 줄줄 따라온다고 생각한다.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고함을 치고 싶다.

터무니 없는 일에 정력을 낭비하지 말라.
그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

진정으로 하고 싶은 말은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부분을 겨냥하라는 것이다.

각자가 지닌 천부적인 소질을 개발한다면
누구라도 자신이 원하는 소득을 올릴 수 있고,
자신이 일하고자 하는 시간만큼 일할 수 있으며,
자신이 추구하는 만족과 성취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을 할 때
일에 대한 애정은 저절로 솟아난다.

또한 적게 일하면서 더 많은 소득을 올리려면
자신의 취약점을 살펴보는 것과
타인과 재능을 비교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여러분의 장점에 초점을 맞춰야만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강점과 약점 중
약점에만 비중을 두어 이를 개선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는 도중 자연스럽게
강점은 한쪽에 그냥 모셔두게 되는데

이때 강점이 무디게
녹슬어 버린다는 사실을 잘 깨닫지 못한다.

내가 갖고 있는 강점을 더욱 개발하라.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은 다르다.

잘하는 것을 더욱 잘 하도록 노력하라.
그것이 성공의 열쇠다.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말 잘하는 사람이 세상을 지배한다는 말이 있듯이 오늘날 스피치 능력은 성공을 부르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의사전달이 명확한 사람에게는 그만큼 기회가 더 맣이 부여되기 때문, 성공화법으로 기회를 잡아보자.

침묵은 금이고 웅변은 은이다.

성공한 사람은 절대 자기 이야기나 해서 듣는 사람을 지루하게 만들지 않는다. 모임에 가면 말을 잘하는 사람도 있고 못하는 사람도 있다. 능력있는 리더라면 말을 잘한다고 해서 일방적으로 떠들것이 아니라 가장 숫기 없는 사람에게 질문을 던져 참석한 모두가 대화에 참여하도록 분위기를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 말만하고 남의 말을 듣지 않으면 타인으로부터 아무런 정보도 얻을 수 없다. 정보가 빈약하니 당연히 성공할 수 없다. 반대로 남의 이야기를 많이 듣는 사람은 많은 정보를 얻기 마련이다. 성공하는 사람은 어떤 경우에도 말을 독점하지 않는다.

목소리 역시 외모처럼 가꾸기 나름이다.

예쁜 아가씨를 보고 말을 걸었는데 목소리가 칼날같이 귀에 거슬리는 고성이어서, 멋진 청년이라고 생각했는데 모기처럼 기어들어가는 목소리여서 실망한 경험들을 누구나 한 번씩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목소리른 외모만큼이나 그 사람의 인상을 결정짓는데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모든 사람이 탄력있고 꾀꼬리 같은 목소리를 가질 수는 없지만 노력 여하에 따라 개선할 수는 있다. 목소리를 개선하려면 먼저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보자. 그리고 가능한 한 목에서 소리를 내지말고 배에서 내는 습관을 들여보도록 하자. 신문이나 책을 소리내어 읽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가꾸려고 마음만 먹으면 목소리를 충분히 달라질 수 있다 .

때로는 안개작전도 필요하다.

노련한 정치인일수록 핵심을 빼고 책임질 말은 요리조리 피하면서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화법은 정치인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대답을 회피하고 싶은 질문을 받을 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어렵거나 까다로운 질문을 피하는 요령이 되는 셈이다. 그러나 화법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공식적인 말은 명확하게 해야 한다.

자신만의 스타일을 갖자

말을 잘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특징은 자기만의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제스처를 많이 쓰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감정이 느껴지는 큰 목소리로 말하는 사람이 있다. 이처럼 개성이 살아있는 스피치는 청중에게 주목을 받는다. 나만의 독특한 말하기 스타일을 개발하자. 이렇게 함으로써 개성없는 생김새까지도 보완할 수 있다.

달변보다는 진실한 한마디가 훨씬 감동적이다.

자신을 돋보이게 하는 화려한 미사여구보다 진실한 마음이 담긴 한마디가 남들을 감동 시킨다. 진짜 말을 잘하는 사람은 허세부리지 않고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내 보이는 방식을 타인에게 감동을 준다. 상대방을 설득하고 행동에 옮기도록 힘을 발휘하는 기술은 바로 진실임을 잊지 말자.

거절과 부탁은 확실하게 하자.

누구나 살다보면 남에게 도움을 받고 도와주며 살아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부탁을 받았을때 거절하기란 매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누군가에게 부탁을 받았을때 이를 거절하지 못하면 서로 낭패보기 십상이다. 능력밖의 부탁을 우물쭈물하지 말고 즉시 거절해야 한다. 이때는 부탁을 들어주지 못해 미안하다는 마음을 전하고 예의 바르게 거절해야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다.

상대방의 눈높이에 맞춘 화제를 이끌어내자.

어떤 그룹안에서 인기가 있는 사람은 이야기를 잘한다고 인정받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들은 금기에 관련된 이야기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알고 싶어하는 궁금증을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준다. 아무리 풍부한 지식을 갖고 있어도 자기만 아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말하면 주변 사람들의 호응을 얻을 수 없다. 어려운 이야기도 상대방의 입장에서 말하는 습관을 들이면 화제를 이끌어가는 중심인물이 될 수 있다.

솔직함이 깃든 화법은 즐거움을 준다.

남을 웃기는 재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큰 능력이다. 보통 말하기를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신에게는 남을 웃기는 재주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남을 웃긴다는 것은 곧 솔직함과 연결된다. 인기 코미디언 이홍렬은 내슝떨지 않고 솔직하게 이야기한다면 사람들이 좋아하더라고 말한바 있다. 그렇다고 무조건 솔직한 이야기가 재미있는 것은 아니다. 가능하면 가벼운 화법으로 그림 그리듯이 상황을 자세하게 묘사해야만 재미가 있다.

눈을 맞추고 이야기하는 것이 설득력을 갖는다.

미네소타 대한 커뮤니케이션 학회는 연설을 하면서 적어도 한 사람을 2분씩 지속적으로 응시하라고 말한다. "사랑한다"는 고백에는 눈빛이 뿜어내는 감정이 반드시 포함되기 마련이다. 이처럼 눈의 표정은 의사를 전달하는데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한다. 효과적인 연설은 눈맞춤으로 완성되며, 이러한 태도는 마음의 여유에서 비롯된다. 어떤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잃지 않는 태도야 말로 성공적인 스피치를 할 수 있는 자세이다.

옷차림과 말은 곧 하나이다.

때와 장소에 어울리는 옷을 고를 줄 아는 감각은 적절한 대화를 나누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옷은 단순히 몸을 가리는 도구가 아니라 한 사람의 성품과 개성을 알리는 매개체 역활을 한다. 따라서 옷차림은 사업이나 직장생활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강력한 힘을 지니고 있다. 공격적인 성격의 사람이 목이 빳빳한 셔츠에 교복을 연상시키는 단색의 양복을 입는다면 더욱 사나워보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사람이 사업에 성공하려면 부드러운 질감의 버튼다운 셔츠를 입어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해야 한다.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후보들이 옷차림에 신경을 쓰는 것은 다 이러한 연유에서이다. 말과 옷은 곧 하나이다. 늘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쉽게 말하는 것이 기억에 남는다.

황수관 박사는 "신바람 건강법"으로 일약 유명인사가 된 사람이다. 이 황박사의 인기비결은 바로 쉽게 말하는 화법에 있다. 텔레비젼은 물론 신문연재 글에서도 그는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예를 들어 건강법을 한다. 이처럼 말잘하는 사람은 평범한 이야기 속에 핵심을 담아 청중의 마음을 움직이게 한다. 생각한 바를 글로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정리할 수 있다. 아름다운 문장으로 멋지게 말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리자. 쉽게 말하는 것이 곧 감동을 줄 수 있다.

'참고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유할때 꼭 확인바람**  (0) 2008.05.29
좋아하는 게 아니라 잘하는 것을 하라.  (0) 2008.05.23
항아리를 채우는 방법  (0) 2008.05.19
GE의 리더역할 체크리스트  (0) 2008.05.16
당나귀와 다이아몬드  (0) 2008.05.16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bl_1196311371.jpg
항아리를 채우는 방법



어떤 시간관리 전문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하루는 이 전문가가 경영학과 학생들에게 강의를

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학생들이 잊지 못할) 어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을 했습니다.
경영학과 학생들 앞에 선 이 전문가가 말했습니다.

"자, 퀴즈를 하나 해 봅시다."

그는 테이블 밑에서 커다란 항아리를 하나 꺼내

가지고 테이블 위에 올려놓았습니다.

그리하고 나서 주먹만한 돌을 꺼내 항아리 속에

하나씩 넣기 시작하였습니다.

항아리에 돌이 가득 하자 그가 물었습니다.

"이 항아리가 가득 찼습니까?"

학생들이 이구동성으로 대답했습니다.

"예"

그러자 그는 "정말?" 하고 되묻더니,

다시 테이블 밑에서 조그만 자갈을 한 뭉큼

꺼내 들었습니다.

그리고는 항아리에 집어넣고 깊숙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항아리를 흔들었습니다.

주먹만한 돌 사이에 조그만 자갈이 가득 차자,

그는 다시 물었습니다.

"이항아리가 가득 찼습니까?"

눈이 동그래진 학생들은 "글쎄요"라고 대답했고,

그는 "좋습니다" 하더니, 다시 테이블 밑에서

모래주머니를 꺼냈습니다.

모래를 항아리에 넣어, 주먹만한 돌과 자갈사이의

빈틈을 가득 채운 후에 다시 물었습니다.

"이 항아리가 가득 찼습니까?"

학생들은 "아니요." 라고 대답했고,

그는 "그렇습니다." 라면서 물을 한 주전자

꺼내서 항아리에 부었습니다.

그리고 나서는 전체 학급에 물었습니다.

"이 실험의 의미가 무었 이겠습니까?"

한 학생이 즉각 손을 들더니 대답했습니다.

"당신이 매우 바빠서 스케줄이 가득 찼더라도,

정말 노력하면, 새로운 일을 그 사이에 추가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닙니다." 시간관리 전문가는 즉시 부인했습니다.

그리고는 말을 이어 갔습니다.

"그것이 요점이 아닙니다.

이 실험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

'만약 당신이 큰돌을 먼저 넣지 않는다면,

영원히 큰돌을 넣지 못할 것이다' 란 것입니다."

인생의 큰돌은 무엇일까요..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GE의 리더역할 체크리스트




1.개인의 책임

(Personal Responsibility)
당신 자신보다는 팀을 만들고 타인을 우선하는 시대가 됐다.

2. 끊임없이 단순화하라

(Simplify Constantly)
리더는 반드시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세 가지를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조직을 제대로 이끌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3. 폭과 깊이 그리고 주변환경에 대한 통찰력을 지녀라

(Understand Breadth, Depth, and Context)
CEO는 회사가 세상변화에 제대로 적응하며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4. 정렬과 시간관리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alignment and time management)
매주말 진정 중요한 것들(우선순위 선정, 결과 측정, 이에 대한 보상)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리더는 가져야 한다.


5. 리더는 끊임없이 학습하고 교수법도 배워야 한다

(Leaders learn constantly and also have to learn how to teach)
리더의 제일 중요한 역할은 가르치는 것이다.

배운 것을 기꺼이 함께 나누고자 하는 당신의 의지를 이들이 느낄 수 있어야 한다.

6. 자신의 스타일을 지켜라

(Stay true to your own style)
자신을 잘 알아야 한다. 나는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며 이렇게 말한다,
“어제 나는 세 가지 일을 더 잘할 수 있었는데.”


7. 통제할 수 있는 자신의 영역을 만들고 관리하라
(Manage by setting boundaries with freedom in the middle)
자신의 영역이란 약속·열정·신뢰와 팀워크를 말한다.
그 안에는 수많은 자유가 있다. 누구도 이 네 가지 영역을 침범하지 못한다.

8. 잘 훈육되어야 하며 배우고 상세히 알아야 한다
(Stay disciplined and detailed)
마이클 델은 싱가포르에서 어제 선적된 컴퓨터 수를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정통하다.


9. 말하지 않는 것, 몇 개는 남겨둬라

(Leave a few things unsaid)
리더는 해답을 알고 있지만 종종 팀이 스스로 해답을 찾도록 한다.

10. 사람을 좋아하라 (Like people)
사람들은 자기가 원하지 않으면 일하지 않는다.
사람을 이해하고, 공정히 대하고, 이들이 가진 최고의 능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Posted by 평강이와유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